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시삭 증후군 (optic tract syndrome, OTS)'''{{신경안과}} 은 한쪽 시삭에 국한된 형성저하 때문에 발생한다<ref>Margo CE et al. Congenital OTS. ''Arch Ophthalmol''. 1991 Aug;109(8):1120-2. [https://pubmed.ncbi.nlm.nih.gov/1867555/ 연결]</ref>. | '''시삭 증후군 (optic tract syndrome, OTS)'''{{신경안과}} 은 한쪽 시삭에 국한된 형성저하 때문에 발생한다<ref>Margo CE et al. Congenital OTS. ''Arch Ophthalmol''. 1991 Aug;109(8):1120-2. [https://pubmed.ncbi.nlm.nih.gov/1867555/ 연결]</ref>. | ||
== 병인 == | |||
선천성인 경우 한 측의 시삭의 장애로 발생한다고 생각되나 정확한 병리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가측 무릎체나 후두엽의 국소적인 손상이나 허혈에 의한 역행성 축삭 변성이 원인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외에도 외상이나 두개인두종 및 뇌하수체 선종과 같은 종양, 동맥류 등의 원인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ref>Savino PJ et al. OTS. A review of 21 patients. ''Arch Ophthalmol''. 1978 Apr;96(4):656-63. [https://pubmed.ncbi.nlm.nih.gov/646693/ 연결]</ref>. | |||
== 증상 == | == 증상 == | ||
병변 반대측의 불일치 동측 반맹, 반대측 눈의 구심 동공 운동 장애, 역행성 축삭 변성 (retrograde axonal degeneration) 에 따른 시신경 위축이 특징적이다. | 병변 반대측의 불일치 동측 반맹, 반대측 눈의 구심 동공 운동 장애, 역행성 축삭 변성 (retrograde axonal degeneration) 에 따른 시신경 위축이 특징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