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72
번
(새 문서: '''레버 특발성 성상 시신경망막염 (Leber's idiopathic stellate neuroretinitis)''' 은 바이러스 전구증을 제외하고 다른 눈이나 전신적인 질환과 관계...)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레버 특발성 성상 시신경망막염 (Leber's idiopathic stellate neuroretinitis)''' 은 바이러스 전구증을 | '''레버 특발성 성상 시신경망막염 (Leber's idiopathic stellate neuroretinitis)''' 은 바이러스 전구증을 | ||
제외하고 다른 눈이나 전신적인 질환과 관계없이 | 제외하고 다른 눈이나 전신적인 질환과 관계없이 단안 시력 저하, 성상 황반삼출와 함께 시신경 유두부종을 보이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 ||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 |||
== 역사 == | == 역사 == | ||
1916년 Leber<ref>Leber T. Die pseudonephritischen Netzhauterkrnakungen, die Retinitis stellata: Die Purtschersche Netzhautaffektion nach schwerer Schadelverletzung. In: Graefe AC, Saemishe T, eds. Graefe-Saemisch Handbuch der Gesamten Augerheikunde, 2nd ed. Vol 78. Leipzig: Engelmann, 1916;1319.</ref>가 처음 보고하면서 특발성의 자연 치유되는 양호한 예후의 질환으로 알려졌으며, 1984년 Dreyer 등<ref>Dreyer RF et al. Leber's idiopathic stellate neuroretinitis. ''Arch Ophthalmol''. 1984 Aug;102(8):1140-5. [https://pubmed.ncbi.nlm.nih.gov/6466174/ 연결]</ref>은 FA를 통해 전형적인 Leber 특발성 성상 시신경망막염 27예를 정리하여 이 질환이 황반병증이 아닌 시신경 유두 모세혈관의 누출이 동반된 일차적인 시신경 질환이라고 밝혔다. | 1916년 Leber<ref>Leber T. Die pseudonephritischen Netzhauterkrnakungen, die Retinitis stellata: Die Purtschersche Netzhautaffektion nach schwerer Schadelverletzung. In: Graefe AC, Saemishe T, eds. Graefe-Saemisch Handbuch der Gesamten Augerheikunde, 2nd ed. Vol 78. Leipzig: Engelmann, 1916;1319.</ref>가 처음 보고하면서 특발성의 자연 치유되는 양호한 예후의 질환으로 알려졌으며, 1984년 Dreyer 등<ref>Dreyer RF et al. Leber's idiopathic stellate neuroretinitis. ''Arch Ophthalmol''. 1984 Aug;102(8):1140-5. [https://pubmed.ncbi.nlm.nih.gov/6466174/ 연결]</ref>은 FA를 통해 전형적인 Leber 특발성 성상 시신경망막염 27예를 정리하여 이 질환이 황반병증이 아닌 시신경 유두 모세혈관의 누출이 동반된 일차적인 시신경 질환이라고 밝혔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