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역학)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진균 각막염 (fungal keratitis)'''{{각막}} 은 치료가 매우 어려운 질환이다. 천천히 진행하고 초기 증상이 심하지 않아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세균 각막염과 감별이 어렵고 상품화된 진균 점안약이 거의 없으며, 대부분의 조제형 진균 점안약이 각막에 효과적으로 침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진균 각막염 (fungal keratitis)'''{{각막}} 은 치료가 매우 어려운 질환이다. 천천히 진행하고 초기 증상이 심하지 않아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며, 세균 각막염과 감별이 어렵고 상품화된 진균 점안약이 거의 없으며, 대부분의 조제형 진균 점안약이 각막에 효과적으로 침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
== 역학 == | == 역학 == | ||
지역별로는 아시아에서 많이 발생하며,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은 인도라고 보고되어 있다. 인도 지역의 발생률은 전체 감염 각막염의 18.5~67.4%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평균 43.0%의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그 외에 네팔, 방글라데시, 가나, 미국의 Florida 남부 등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는 Aspergillus가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세정제인 ReNu MoistureLoc (Bausch&Lomb Inc, Rochester, New York, USA) 과 연관된 Fusarium의 폭발적인 발병이 홍콩, 싱가포르, 미국 등에서 보고되었다. | 전 세계에서 주요한 실명의 원인 중 하나로 안구에 심각한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진균각막염의 보고는 최근 증가되고 있는데 이는 진균 동정법의 발전으로 인한 것일 수 있지만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제제의 사용 증가, 콘택트렌즈 사용의 증가, 전층 각막 이식과 같은 각막 수술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도 여겨진다. | ||
지역별로는 아시아에서 많이 발생하며,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은 인도라고 보고되어 있다. 인도 지역의 발생률은 전체 감염 각막염의 18.5~67.4%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평균 43.0%의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다. 그 외에 네팔, 방글라데시, 가나, 미국의 Florida 남부 등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는 Aspergillus가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세정제인 ReNu MoistureLoc (Bausch&Lomb Inc, Rochester, New York, USA) 과 연관된 Fusarium의 폭발적인 발병이 홍콩, 싱가포르, 미국 등에서 보고되었다. | |||
한국의 3차 병원에서 보고된 빈도는 전체 감염 각막염(세균, 진균, 가시아메바 포함)의 15.1~26.9% 정도이다. 그 외에 세균 각막염과 혼합 감염도 보고되어 있으며, 주 병인균은 Fusarium, Aspergillus, Candida로 보고되고 있다. 과거에는 Aspergillus가 주 원인균으로 많이 보고되었는데, 최근에는 Fusarium, Candida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 ||
* 외상 : 가장 큰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는데, 주로 후진국에서 나타난다. 특히 식물, 또는 유기물에 의한 외상 시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 * 외상 : 가장 큰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는데, 주로 후진국에서 나타난다. 특히 식물, 또는 유기물에 의한 외상 시 많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