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면화반 (cotton wool spot; CWS)'''{{망막}} 은 연성 심출물 (soft exudate) 또는 신경섬유층 경색 등으로도 불리며, 망막 세동맥의 폐쇄 후 허혈 부위의 축삭질 이동 (axoplasmic transport) 의 장애로 축삭이 부어서 발생한다. 과거에는 임상적으로 [[망막내 미세혈관 이상]], [[염주 정맥]], 심한 망막 출혈, [[미세혈관류]]와 함께 [[증식성 당뇨 망막병증]]의 진행에 중요한 위험 인자로 생각하였으나, ETDRS 결과에서는 다른 소견 에 비해 그 의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
== 원인 == | == 원인 == | ||
* 당뇨 : 당뇨가 | * 당뇨 : 당뇨가 없는 환자에서 안저에 변화반이 관찰되는 경우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당뇨 망막병증]] (20%) 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 ||
* 후천 면역결핍 증후군 : AIDS 환자의 50~70%에서 발견되며 망막혈관 내 면역 복합체의 침착이 원인으로 여겨진다. | * 후천 면역결핍 증후군 : AIDS 환자의 50~70%에서 발견되며 망막혈관 내 면역 복합체의 침착이 원인으로 여겨진다. | ||
* 고혈압 : 이완기 혈압이 110~115 mmHg을 넘지 않으면 면화반이 드물게 발생하므로 혈압을 가장 먼저 측정하여야 한다. | * 고혈압 : 이완기 혈압이 110~115 mmHg을 넘지 않으면 면화반이 드물게 발생하므로 혈압을 가장 먼저 측정하여야 한다. | ||
== 병인 == | |||
망막 세동맥의 폐쇄 및 이에 따른 허혈로 인해 신경섬유층 내 축삭 형질 이동이 막힌 뒤 축삭 내 세포 기관들이 축적되어 발생한다. 이후에 허혈로 인한 내측 망막의 위축으로 면화반이 있던 부위가 조금 함몰되어 보일 수 있다. | |||
== 증상 == | == 증상 == | ||
보통 시력 저하를 유발하지 않지만, 많은 경우 시야에 떠다니는 점을 보았다는 병력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 보통 시력 저하를 유발하지 않지만, 많은 경우 시야에 떠다니는 점을 보았다는 병력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 ||
12번째 줄: | 14번째 줄: | ||
* FA : 망막의 뿌연 혼탁으로 배경형광이 차단되어 저형광으로 보이며, 회복된 후에는 막혔던 세동맥의 분지가 없어져 모세혈관 비관류와 그 주위의 확장된 모세혈관 [[미세혈관류]]를 관찰할 수 있다. | * FA : 망막의 뿌연 혼탁으로 배경형광이 차단되어 저형광으로 보이며, 회복된 후에는 막혔던 세동맥의 분지가 없어져 모세혈관 비관류와 그 주위의 확장된 모세혈관 [[미세혈관류]]를 관찰할 수 있다. | ||
== 경과 == | == 경과 == | ||
대개 | 대개 6~12주 안에 흡수되지만, [[당뇨 망막병증]]에서는 [[고혈압 망막병증]]에서보다 지연되어 1년 남짓 걸리며, 흡수 후에는 신경 섬유와 신경절 세포 (ganglion cell) 의 위축으로 약간 함몰되고 그 표면이 주위와는 다른 느낌을 준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