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타노프로스텐 부노드: 두 판 사이의 차이

196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9월 10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LBN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Latanoprost 0.005%와 비교한 VOYAGER 연구에서는 28일간 LBN 0.024%를 1일 1회 점안한 환자군과 latanoprost 0.005%를 1일 1회 점안한 군을 비교하였을 때 LBN군에서 유의하게 더 큰 안압감소 효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LBN 사용 시 순응도 측면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ref>Weinreb RN et al; VOYAGER study group. A randomised, controlled comparison of LBN and latanoprost 0.005% in the treatment of OHTN and OAG: the VOYAGER study. ''BJO''. 2015 Jun;99(6):738-45. [https://pubmed.ncbi.nlm.nih.gov/25488946/ 연결]</ref>. 또한 Weinreb 등<ref>Weinreb RN et al. LBN 0.024% vs Timolol Maleate 0.5% in Subjects with OAG or OHTN : The APOLLO Study. ''Ophthalmology''. 2016 May;123(5):965-73. [https://pubmed.ncbi.nlm.nih.gov/26875002/ 연결]</ref>은 원발 개방각 녹내장 및 고안압증 환자 420명을 대상으로 Timolol 0.5%를 1일 2회 사용한 군과 LBN 0.024%를 1일 1회 점안한 군 사이의 안압 하강 효과을 비교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LBN 0.024% 를 점안한 군 (범위, -7.7~-9.1mmHg)은 Timolol 0.5%를 점안한 군 (범위, -6.6~-8.0mmHg)에 비하여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큰 안압감소를 보였다 (P≤0.002). 약물 사용 후 평균 안압이 18mmHg 이하인 환자의 비율은 LBN 0.024% 군과 Timolol 0.5% 군에서 각각 22.9%와 11.3%로 LBN 환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05). Baseline과 비교하여 안압감소치가 25% 이상인 환자의 비율 또한 LBN 0.024% 군의 경우 34.9 %로, Timolol 0.5% 군의 19.5 %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P=0.001).
LBN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Latanoprost 0.005%와 비교한 VOYAGER 연구에서는 28일간 LBN 0.024%를 1일 1회 점안한 환자군과 latanoprost 0.005%를 1일 1회 점안한 군을 비교하였을 때 LBN군에서 유의하게 더 큰 안압감소 효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LBN 사용 시 순응도 측면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ref>Weinreb RN et al; VOYAGER study group. A randomised, controlled comparison of LBN and latanoprost 0.005% in the treatment of OHTN and OAG: the VOYAGER study. ''BJO''. 2015 Jun;99(6):738-45. [https://pubmed.ncbi.nlm.nih.gov/25488946/ 연결]</ref>. 또한 Weinreb 등<ref>Weinreb RN et al. LBN 0.024% vs Timolol Maleate 0.5% in Subjects with OAG or OHTN : The APOLLO Study. ''Ophthalmology''. 2016 May;123(5):965-73. [https://pubmed.ncbi.nlm.nih.gov/26875002/ 연결]</ref>은 원발 개방각 녹내장 및 고안압증 환자 420명을 대상으로 Timolol 0.5%를 1일 2회 사용한 군과 LBN 0.024%를 1일 1회 점안한 군 사이의 안압 하강 효과을 비교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LBN 0.024% 를 점안한 군 (범위, -7.7~-9.1mmHg)은 Timolol 0.5%를 점안한 군 (범위, -6.6~-8.0mmHg)에 비하여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큰 안압감소를 보였다 (P≤0.002). 약물 사용 후 평균 안압이 18mmHg 이하인 환자의 비율은 LBN 0.024% 군과 Timolol 0.5% 군에서 각각 22.9%와 11.3%로 LBN 환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05). Baseline과 비교하여 안압감소치가 25% 이상인 환자의 비율 또한 LBN 0.024% 군의 경우 34.9 %로, Timolol 0.5% 군의 19.5 %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P=0.001).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
|-
|비줄타 점안액 0.024%||Latanoprostene Bunod 0.24mg/ml||2.5, 5 ml||바슈 헬스 코리아
|}
== ONO-9054 ==
== ONO-9054 ==
기존약제가 작용하는 FP 수용체뿐만 아니라 프로스타노이드 EP3 수용체에도 같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존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섬유주와 섬모체 근육에 위치한 EP3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여 기존의 [[포도막-공막 유출로]] 이외에도 섬유주를 통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킴으로 안압하강에 추가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Miller 등<ref>Miller Ellis E et al. OHTN effect of the novel EP3/FP agonist ONO-9054 vs Xalatan : results of a 28-day, double-masked, randomised study. ''BJO''. 2017 Jun;101(6):796-800. [https://pubmed.ncbi.nlm.nih.gov/27649982/ 연결]</ref>은 안압이 24mmHg 이상이면서 치료받지 않은 성인 62명을 대상으로 ONT-9054와 Latanoprost의 안전성, 순응도, 평균 안압하강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2상 임상 시험을 진행한 결과 일주일 간 각 약제를 사용하였을 때 ONO-9054가 [[라타노프로스트]] (-7.2mmHg 대 -6.6mmHg)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큰 안압 감소를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기존약제가 작용하는 FP 수용체뿐만 아니라 프로스타노이드 EP3 수용체에도 같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존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섬유주와 섬모체 근육에 위치한 EP3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여 기존의 [[포도막-공막 유출로]] 이외에도 섬유주를 통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킴으로 안압하강에 추가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Miller 등<ref>Miller Ellis E et al. OHTN effect of the novel EP3/FP agonist ONO-9054 vs Xalatan : results of a 28-day, double-masked, randomised study. ''BJO''. 2017 Jun;101(6):796-800. [https://pubmed.ncbi.nlm.nih.gov/27649982/ 연결]</ref>은 안압이 24mmHg 이상이면서 치료받지 않은 성인 62명을 대상으로 ONT-9054와 Latanoprost의 안전성, 순응도, 평균 안압하강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2상 임상 시험을 진행한 결과 일주일 간 각 약제를 사용하였을 때 ONO-9054가 [[라타노프로스트]] (-7.2mmHg 대 -6.6mmHg)에 비해 평균적으로 더 큰 안압 감소를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