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121번째 줄: | 121번째 줄: | ||
== 교감 신경 흥분제 +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 | == 교감 신경 흥분제 +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 | ||
=== | === [[브리모니딘]] + [[브린졸라미드]] === |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
|+표. brimonidine 2mg/ml + brinzolamide 10mg/ml 약제의 종류 | |+표. brimonidine 2mg/ml + brinzolamide 10mg/ml 약제의 종류 | ||
129번째 줄: | 129번째 줄: | ||
|심브린자 점안액||5ml||한국 노바티스||16,075원/5ml | |심브린자 점안액||5ml||한국 노바티스||16,075원/5ml | ||
|} | |} | ||
{{참고 | 개방각 녹내장과 고안압증 환자에서 이 혼합 제제와 각각의 약제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에 의하면 혼합제제의 안압하강 정도는 26.7~36.0%로 brinzolamide의 22.4~27.9%, brimonidine의 20.6~31.3%에 비해 더 높았다. 부작용으로는 충혈, 흐림, 알레르기 반응 등이 있었고, 충혈은 brinzolamide가 brimonidine이나 혼합제제보다 적었고, 흐림은 혼합제제가 각각의 단독 약제들보다 더 흔했다<ref>Aung T et al. 2/d brinzolamide/brimonidine FCD vs brinzolamide or brimonidine in OAG or OHTN. ''Ophthalmology''. 2014 Dec;121(12):2348-55. [https://pubmed.ncbi.nlm.nih.gov/25064721/ 연결]</ref>. Dorzolamide-timolol 혼합제제와의 비교연구에서는 두 약제 모두 비슷한 정도의 안압하강 정도를 보였다. 최근 [[정상 안압 녹내장|NTG]]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1차 치료로 이 혼합 제제를 처음 사용한 환자에서는 평균 35.5%의 안압 하강 효과를 보였고 brinzolamide나 brimonidine를 단독으로 사용하던 환자에서 약제 교체를 한 경우 각각 8.1%, 13.7%의 추가 안압 하강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이전의 개방각 녹내장과 고안압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비슷한 안압 하강 수준으로, 기저 질환으로 인해 베타차단제 사용이 제한적인 정상 안압녹내장에서도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 약제라고 하였다<ref>Shin HU et al. The Efficacy of Brinzolamide 1%/Brimonidine 0.2% FCD in NTG. ''JKOS'' 2016;57(10):1619-1624.</ref>. 본 약제는 혼합 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나 여러 전신 질환이나 안구 부작용으로 [[티몰롤]] 성분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