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모니딘: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제거됨 ,  2021년 9월 17일 (금)
잔글
24번째 줄: 24번째 줄:
0.2% 브리모니딘을 하루 3회 점안한다.
0.2% 브리모니딘을 하루 3회 점안한다.
== 부작용 ==
== 부작용 ==
입마름, 진정작용, 졸음, 두통,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신 부작용은 고령이나 어린 나이의 환자에게 잘 나타나며, 15세 이하에서는 졸림이 나 기면증이 흔히 나타나므로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혈액-뇌 장벽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경우 심각한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나 영유아에는 무호흡증이나 저혈압을 유발할 위험이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입마름, 진정작용, 졸음, 두통,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신 부작용은 고령이나 어린 나이의 환자에게 잘 나타나며, 15세 이하에서는 졸림이나 기면증이 흔히 나타나므로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혈액-뇌 장벽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경우 심각한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나 영유아에는 무호흡증이나 저혈압을 유발할 위험이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안구 알레르기 ===
=== 안구 알레르기 ===
브리모니딘은 알레르기를 가장 많이 유발하는 약제로 점안 횟수와 농도에 따라 그 발생률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특히, 색소가 짙은 갈색 홍채를 갖는 한국인에서 장기간의 브리모니딘 사용 성적으로 보았을 때 0.2% 브리모니딘 + 0.5% 티몰롤 인 콤비간은 10.14%에서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반면, 0.15% 브리모니딘 단일 제제인 알파간-피 에서는 22.02% 의 알레르기가 발생하여 각각의 약제 특성으로 인해 알레르기 발생률도 큰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브리모니딘은 알레르기를 가장 많이 유발하는 약제로 점안 횟수와 농도에 따라 그 발생률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다. 특히, 색소가 짙은 갈색 홍채를 갖는 한국인에서 장기간의 브리모니딘 사용 성적으로 보았을 때 0.2% 브리모니딘 + 0.5% 티몰롤 인 콤비간은 10.14%에서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반면, 0.15% 브리모니딘 단일 제제인 알파간-피 에서는 22.02% 의 알레르기가 발생하여 각각의 약제 특성으로 인해 알레르기 발생률도 큰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