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병: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32번째 줄: 32번째 줄: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매독, 결핵, [[교감 안염]], [[급성 후부 다발성 판모양 색소상피증]] (APMPPE), 눈 [[사르코이드증]], 림프종, 뒤공막염, [[맥락막 삼출 증후군]] 및 기타 다른 원인의 장액 망막 박리 등을 포함한다.
매독, 결핵, [[교감 안염]], [[급성 후부 다발성 판모양 색소상피증]] (APMPPE), 눈 [[사르코이드증]], 림프종, 뒤공막염, [[맥락막 삼출 증후군]] 및 기타 다른 원인의 장액 망막 박리 등을 포함한다.
== 비수술적 치료 ==
== 치료 ==
급성기에는 <span style='color:blue;'>전신적 스테로이드</span> 치료가 첫 치료로서 가장 흔히 사용된다. 하루에 체중 1kg 당 1~2mg의 prednisolone을 경구 투여하거나, 고용량 methylprednisolone(하루 1g)을 정맥 주사한다. 고용량 치료는 심한 포도막염이나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 경우 특히 사용할 것을 권하는데, 장기간 시력 예후나 합병증 등에서 펄스 치료가 더 좋은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은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스테로이드는 차츰 감량하며 여러 연구에서 4~6개월 이상의 사용이 재발을 막는데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보고되었고 최근 mycophenolate mofetil 등의 면역억제제를 초기부터 스테로이드와 병용 투여하여 합병증을 줄이고 시력 결과를 개선시킨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br />보조적 혹은 단독으로 triamcinolone을 유리체강이나 테논낭하로 주사할 수도 있지만, 전신 투약에 보조적으로 사용하거나 전신 투약이 곤란한 경우에 한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것을 권한다.
급성기에는 <span style='color:blue;'>전신적 스테로이드</span> 치료가 첫 치료로서 가장 흔히 사용된다. 하루에 체중 1kg 당 1~2mg의 prednisolone을 경구 투여하거나, 고용량 methylprednisolone(하루 1g)을 정맥 주사한다. 고용량 치료는 심한 포도막염이나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된 경우 특히 사용할 것을 권하는데, 장기간 시력 예후나 합병증 등에서 펄스 치료가 더 좋은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은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스테로이드는 차츰 감량하며 여러 연구에서 4~6개월 이상의 사용이 재발을 막는데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보고되었고 최근 mycophenolate mofetil 등의 면역억제제를 초기부터 스테로이드와 병용 투여하여 합병증을 줄이고 시력 결과를 개선시킨 연구 결과도 보고되었다.<br />보조적 혹은 단독으로 triamcinolone을 유리체강이나 테논낭하로 주사할 수도 있지만, 전신 투약에 보조적으로 사용하거나 전신 투약이 곤란한 경우에 한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것을 권한다.
== 예후 및 합병증 ==
== 예후 및 합병증 ==
많은 보고들이 여러 가지 변수에 대하여 예후적 가치를 평가하였는데, 인종에 따른 차이가 있는 질환이므로 여러 연구 결과의 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여러 연구들의 공통적인 요소로 고용량 스테로이드(>1mg/kg/일)를 이른 시기에 시작하여 충분한 기간 투여하는 것이 예후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일체의 염증 약물을 중단하고서도 3개월 이상 염증의 재발이 없는 완전 완화가 되면 이후 염증의 재발은 드물다.<br />만성 재발기로 들어서면 불량한 시력 예후뿐 아니라 오랜 전신 투약으로 인한 비용 및 전신 합병증의 발생 위험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성 재발기에는 주로 앞포도막염이 발생하므로, 꾸준하게 염증을 조절하고 합병증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장기적인 시력 예후는 좋은 편이다. 황반변성, [[맥락막 혈관 신생]]이나 조절되지 않는 녹내장으로 인한 시신경 위축 등이 영구적인 시력 저하의 원인이다.
많은 보고들이 여러 가지 변수에 대하여 예후적 가치를 평가하였는데, 인종에 따른 차이가 있는 질환이므로 여러 연구 결과의 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여러 연구들의 공통적인 요소로 고용량 스테로이드(>1mg/kg/일)를 이른 시기에 시작하여 충분한 기간 투여하는 것이 예후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일체의 염증 약물을 중단하고서도 3개월 이상 염증의 재발이 없는 완전 완화가 되면 이후 염증의 재발은 드물다.<br />만성 재발기로 들어서면 불량한 시력 예후뿐 아니라 오랜 전신 투약으로 인한 비용 및 전신 합병증의 발생 위험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성 재발기에는 주로 앞포도막염이 발생하므로, 꾸준하게 염증을 조절하고 합병증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진다면 장기적인 시력 예후는 좋은 편이다. 황반변성, [[맥락막 혈관 신생]]이나 조절되지 않는 녹내장으로 인한 시신경 위축 등이 영구적인 시력 저하의 원인이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