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역사) |
잔글 (→검사 및 진단)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 만성 재발기 : 주로 전안부의 염증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육아종성 홍채섬모체염으로 인한 굳기름 각막 후면 침착물, 염증성 삼출막, 홍채뒤 유착 등이 발생하며 홍채 결절이 관찰되기도 한다. 유리체염으로 인한 유리체 흐림이 동반될 수 있다.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재발로 백내장과 녹내장의 발생 빈도가 높으며 안구 위축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염증의 재발 여부와는 별도로 맥락막 신생혈관으로 인한 황반부 출혈 및 반흔이 생길 수 있다. | * 만성 재발기 : 주로 전안부의 염증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육아종성 홍채섬모체염으로 인한 굳기름 각막 후면 침착물, 염증성 삼출막, 홍채뒤 유착 등이 발생하며 홍채 결절이 관찰되기도 한다. 유리체염으로 인한 유리체 흐림이 동반될 수 있다. 만성적이고 반복적인 재발로 백내장과 녹내장의 발생 빈도가 높으며 안구 위축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염증의 재발 여부와는 별도로 맥락막 신생혈관으로 인한 황반부 출혈 및 반흔이 생길 수 있다. | ||
== | == 진단 기준 == | ||
=== 미국 포도막염 학회 (AUS, 1978) === | |||
* 안구 외상 또는 눈 수술 병력의 부재 | |||
* 다음 4가지 증상 중 최소한 3개 이상 존재 | |||
** 양측성 만성 홍채섬모체염 | |||
** 삼출 망막박리, 불완전형 (forme fruste) 삼출 망막박리, 시신경 유두 충혈 (disc hyperemia) 또는 시신경 부종 및 저녁노을 안저를 포함하는 후포도막염 | |||
** 이명, 목 경직, 뇌신경이나 중추신경계 질환 또는 뇌척수액 백혈구 증가증 등의 신경학적 증상 | |||
** 탈모, 백모증 또는 백반증의 피부소견 | |||
=== VKH병 국제 워크샵 (2001) === | |||
VKH병은 임상경과에 따라 매우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므로, 일부 환자에서는 미국 포도막염 학회의 기준에 따라 진단하기 위해 필요한 소견들이 초기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에 VKH병이 신체 여러 기관계통을 침범하며 질병 초기와 후기에 서로 다른 안구 증상들을 나타내는 것을 반영하기 위하여 다양한 단계에서의 임상 양상들을 포함하는 개정 진단 기준을 제시하였다.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매독, 결핵, [[교감 안염]], [[급성 후부 다발성 판모양 색소상피증]] (APMPPE), 눈 [[사르코이드증]], 림프종, 뒤공막염, [[맥락막 삼출 증후군]] 및 기타 다른 원인의 장액 망막 박리 등을 포함한다. | 매독, 결핵, [[교감 안염]], [[급성 후부 다발성 판모양 색소상피증]] (APMPPE), 눈 [[사르코이드증]], 림프종, 뒤공막염, [[맥락막 삼출 증후군]] 및 기타 다른 원인의 장액 망막 박리 등을 포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