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임상 소견)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염증은 결국 미만성으로 진행하여 전방 내에 염증 세포의 출현과 방수 흐림을 보이면서 전안부로 확산된다. 굳기름 각막 침착물과 홍채 표면 및 동공 가장자리에 작은 결절들이 관찰될 수 있으나 흔한 소견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안부의 염증성 변화들은 만성 재발기에서는 더 흔하게 발생한다. 섬모체와 맥락 막 내의 염증성 침착물은 수정체-홍채 가로막의 전방 편위를 일으켜 [[급성 폐쇄각 녹내장]] 이나 윤상 맥락막 박리를 초래할 수 있다<ref>Kawano Y et al. UBM analysis of transient shallow AC in VKH syndrome. ''AJO''. 1996 Jun;121(6):720-3. [https://pubmed.ncbi.nlm.nih.gov/8644822/ 연결]</ref>. 이러한 안구내 변화들은 전형적으로 양쪽에 나타나지만, 드물게 한쪽 눈에 국한되어 진행될 수 있다<ref>Usui Y et al. Presumed VKH disease with unilateral ocular involvement : report of 3 case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Aug;247(8):1127-32. [https://pubmed.ncbi.nlm.nih.gov/19308440/ 연결]</ref>. | 염증은 결국 미만성으로 진행하여 전방 내에 염증 세포의 출현과 방수 흐림을 보이면서 전안부로 확산된다. 굳기름 각막 침착물과 홍채 표면 및 동공 가장자리에 작은 결절들이 관찰될 수 있으나 흔한 소견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안부의 염증성 변화들은 만성 재발기에서는 더 흔하게 발생한다. 섬모체와 맥락 막 내의 염증성 침착물은 수정체-홍채 가로막의 전방 편위를 일으켜 [[급성 폐쇄각 녹내장]] 이나 윤상 맥락막 박리를 초래할 수 있다<ref>Kawano Y et al. UBM analysis of transient shallow AC in VKH syndrome. ''AJO''. 1996 Jun;121(6):720-3. [https://pubmed.ncbi.nlm.nih.gov/8644822/ 연결]</ref>. 이러한 안구내 변화들은 전형적으로 양쪽에 나타나지만, 드물게 한쪽 눈에 국한되어 진행될 수 있다<ref>Usui Y et al. Presumed VKH disease with unilateral ocular involvement : report of 3 cases.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 Aug;247(8):1127-32. [https://pubmed.ncbi.nlm.nih.gov/19308440/ 연결]</ref>. | ||
=== 만성 포도막염기 (chronic uveitic stage) === | === 만성 포도막염기 (chronic uveitic stage) === | ||
회복기 (convalescent stage) 라고도 하고 급성 포도막염기 이후 몇 주 후에 발생하며 백반증, 백모증 및 맥락막 색소 소실의 진행이 특징이다. 스기우라 징 후 (Sugiura's sign) 로 알려진 각막윤부 주위 백반증 (perilimbal vitiligo) 은 아시아인과 같이 각막윤부에 있는 보크트의 울타리배열 (palisade of | 회복기 (convalescent stage) 라고도 하고 급성 포도막염기 이후 몇 주 후에 발생하며 백반증, 백모증 및 맥락막 색소 소실의 진행이 특징이다. 스기우라 징 후 (Sugiura's sign) 로 알려진 각막윤부 주위 백반증 (perilimbal vitiligo) 은 아시아인과 같이 각막윤부에 있는 보크트의 울타리배열 (palisade of Vogt) 에 멜라닌증을 가진 환자들에서 발생할수 있다. | ||
맥락막의 색소 소실은 급성 포도막염기 이후 몇 개월 뒤에 나타나며, 특징적인 시신경 유두 창백과 밝은 붉은색 오렌지색의 맥락막을 가진 저녁노을 안저의 발생으로 이어진다. 시신경유두 곁부위 (juxtapapillary area) 는 뚜렷한 색소 소실을 보이게 되고, 안저의 아래쪽 중간 주변부에 크기가 작고 노란색의 잘 경계 지어진 맥락망막 위축 부위들이 나타난다. 이 회복기는 수개월 동안 지속될 수 있다. | 맥락막의 색소 소실은 급성 포도막염기 이후 몇 개월 뒤에 나타나며, 특징적인 시신경 유두 창백과 밝은 붉은색 오렌지색의 맥락막을 가진 저녁노을 안저의 발생으로 이어진다. 시신경유두 곁부위 (juxtapapillary area) 는 뚜렷한 색소 소실을 보이게 되고, 안저의 아래쪽 중간 주변부에 크기가 작고 노란색의 잘 경계 지어진 맥락망막 위축 부위들이 나타난다. 이 회복기는 수개월 동안 지속될 수 있다. | ||
=== 만성 재발기 (chronic recurrent stage) === | === 만성 재발기 (chronic recurrent stage) === | ||
만성 재발기에는 약한 강도의 잔여 전체 포도막염과 급성 육아종성 앞포도막염이 간헐적으로 악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삼출 망막박리를 동반하는 후포도막염의 재발은 흔하지 않다. 앞포도막염은 국소 및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홍채 결절이 동반될 수 있다. 이 시기에 만성적인 염증의 합병증으로 가장 큰 시력 손상을 유발하는 것은 망막하 신생혈관막의 발생이다<ref>Moorthy RS et al. Subretinal neovascular membranes in VKH syndrome. ''AJO''. 1993 Aug 15;116(2):164-70. [https://pubmed.ncbi.nlm.nih.gov/8352300/ 연결]</ref>. 후낭하 백내장, 폐쇄각 및 개방각 녹내장, 홍채후 유착과 같은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안구내 염증의 재발은 광범위한 맥락망막 위축을 유발하게 된다. | 만성 재발기에는 약한 강도의 잔여 전체 포도막염과 급성 육아종성 앞포도막염이 간헐적으로 악화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삼출 망막박리를 동반하는 후포도막염의 재발은 흔하지 않다. 앞포도막염은 국소 및 전신 스테로이드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홍채 결절이 동반될 수 있다. 이 시기에 만성적인 염증의 합병증으로 가장 큰 시력 손상을 유발하는 것은 망막하 신생혈관막의 발생이다<ref>Moorthy RS et al. Subretinal neovascular membranes in VKH syndrome. ''AJO''. 1993 Aug 15;116(2):164-70. [https://pubmed.ncbi.nlm.nih.gov/8352300/ 연결]</ref>. 후낭하 백내장, 폐쇄각 및 개방각 녹내장, 홍채후 유착과 같은 합병증도 발생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안구내 염증의 재발은 광범위한 맥락망막 위축을 유발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