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검사 및 진단) |
잔글 (→진단)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진단 == | == 진단 == | ||
* 안저 : 황반부에 경계가 명확한 색소가 상실되고 맥락막 혈관이 비쳐보이는 병변을 확인할 수 있다. | * 안저 : 황반부에 경계가 명확한 색소가 상실되고 맥락막 혈관이 비쳐보이는 병변을 확인할 수 있다. | ||
* AF : 경계가 명확하고, 저형광을 보이는 부분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RPE의 소실과 함께 지방 갈색소 축적이 없지 때문이다. 이러한 | * AF : 경계가 명확하고, 저형광을 보이는 부분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RPE의 소실과 함께 지방 갈색소 축적이 없지 때문이다. 이러한 저형광으로 나타나는 부위 주변은 그 주위 GA가 없는 부위의 자가 형광과 대비가 잘되기 때문에, 이러한 진행 여부를 관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위축이 있는 부위와 없는 부위의 경계 부위에서는 다양한 패턴의 고형광으로 관찰되는데, 기존의 위축이 커지면서 새로운 위축이 생기는 부분은 이러한 자가 형광이 증가한 부위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증가된 자가 형광의 존재와 패턴은 AMD에서 GA의 진행에 대한 예후를 알게 해준다.17-19 | ||
* FA : 소실되거나 위축된 RPE를 통해 배경 맥락막 형광이 쉽게 투과되어 초기부터 밝은 과형광을 나타내며, 흔히 이 부분을 지나는 맥락막 혈관들이 같이 보이게 된다. 촬영 후기에는 과형광 정도가 약해질 수 있으나, 어떤 경우는 지속되기도 한다. | * FA : 소실되거나 위축된 RPE를 통해 배경 맥락막 형광이 쉽게 투과되어 초기부터 밝은 과형광을 나타내며, 흔히 이 부분을 지나는 맥락막 혈관들이 같이 보이게 된다. 촬영 후기에는 과형광 정도가 약해질 수 있으나, 어떤 경우는 지속되기도 한다. | ||
* OCT : [[외경계막]],내절-외절 경계, RPE와 브루크막 복합체 등의 구조가 없는 것이 관찰된다. OCT는 위축 부위를 층별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안저 검사나 AF보다 조기에 위축을 발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 OCT : [[외경계막]],내절-외절 경계, RPE와 브루크막 복합체 등의 구조가 없는 것이 관찰된다. OCT는 위축 부위를 층별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안저 검사나 AF보다 조기에 위축을 발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
== 임상적 중요성 == | |||
AMD로 인한 심한 시력상실의 12~21% 정도만이 GA에 의한 것이라는 보고가 있다<ref>Gass JD. Pathogenesis of disciform detachment of the neuroepithelium. ''AJO''. 1967 Mar;63(3):Suppl:1-139. [https://pubmed.ncbi.nlm.nih.gov/6019308/ 연결]</ref><ref>Hyman LG et al. Senile macular degeneration : a case-control study. ''Am J Epidemiol''. 1983 Aug;118(2):213-27. [https://pubmed.ncbi.nlm.nih.gov/6881127/ 연결]</ref>. 하지만 GA 환자에 있어서, 시기능을 평가하는 데 시력만으로 기능적 장애를 모두 나타낼 수는 없다. 위축 부위가 커도 주시점이 보존되면 좋은 시력을 보이지만 환자는 책을 읽는 등의 활동에 있어 어려움을 호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독서 속도가 늦어지는 것은 중심부근 암점 이 존재할 뿐 아니라, 비정상적인 중심와 암순응 민감도와 어두운 조명하에서 감소된 시력, 그리고 감소된 대비 감도를 보이기 때문이다<ref>Schmitz-Valckenberg et al. In vivo imaging of foveal sparing in GA secondary to AMD. ''IOVS''. 2009 Aug;50(8):3915-21. [https://pubmed.ncbi.nlm.nih.gov/19339734/ 연결]</ref><ref>Sarks JP et al. Evolution of GA of the RPE. ''Eye (Lond)''. 1988;2 (Pt 5):552-77. [https://pubmed.ncbi.nlm.nih.gov/2476333/ 연결]</ref>. 이런 경우 확대 보조 기구를 사용해도 독서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데, 이는 확대된 상이 기능을 하지 않는 망막 위에 맺히기 때문이다. 위축이 망막 중심오목의 80% 이상을 차지할 때까지도 중심 주시점을 완전히 잃지 않는다는 보고도 있다. 드루젠과 관련 없는 위축보다 드루젠 관련 위축에서 5년 정도 일찍 주시점 침범이 발생하는데, 주시점이 침범되었다 하더라도 위축된 부위 내에 살아 있는 망막의 섬 또는 그 부위 밖의 최소한으로 침범된 망막 부분을 찾는 환자의 능력에 따라 시력은 다양할 수 있다.20 보통 암점 우측으로 주시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선의 끝보다는 시작을 보는 능력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 |||
== 치료 == | ==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