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812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0월 11일 (월)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현재까지 여러 나라에서 서로 다른 인종 및 인구 코호트 내 DR의 유병률을 보고하였으며, 그 결과 DR의 유병률은 참여 인종, 분석 방법 및 시기에 따라 15.8~50.3% 까지 다양하게 확인되었다.3,4.6-13 2012년도에 Meta-Analysis for Eye Disease Study Group 은 1980년부터 2008년까지 발표된 35개의 DR 인구 기반 코호트 연구를 메타 분석하여 22,896명의 당뇨병 환자에서 DR, DME, 실명 위험 DR의 유병률이 각각 34.6%, 6.8%, 10.2% 임을 보고하였다.14 이 연구에서 DR 및 실명 위험 DR의 유병률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인종별로 살펴봤을 때 흑인에서 가장 높았고 아시아인에서 가장 낮았다. 1형 당뇨병에서는 당뇨병 유병 기간이 길고 당화 혈색소가 높은 경우에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2008~2011년도 국민영양건강조사 자료를 분석한 국내 보고에 따르면 당뇨병이 있는 한국인의 DR, DME, 실명 위험 DR의 유병률은 각각 15.8%, 2.8%, 4.6% 로 다른 아시아 인종에 비해 낮았으며 중국인 27.9~43.1%, 싱가폴 내 말레이 및 인도인 30.4~35%, 도시 지역 인도인의 유병률 (18.0%) 과 유사하였다.10-13,15-17
현재까지 여러 나라에서 서로 다른 인종 및 인구 코호트 내 DR의 유병률을 보고하였으며, 그 결과 DR의 유병률은 참여 인종, 분석 방법 및 시기에 따라 15.8~50.3% 까지 다양하게 확인되었다.3,4.6-13 2012년도에 Meta-Analysis for Eye Disease Study Group 은 1980년부터 2008년까지 발표된 35개의 DR 인구 기반 코호트 연구를 메타 분석하여 22,896명의 당뇨병 환자에서 DR, DME, 실명 위험 DR의 유병률이 각각 34.6%, 6.8%, 10.2% 임을 보고하였다.14 이 연구에서 DR 및 실명 위험 DR의 유병률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인종별로 살펴봤을 때 흑인에서 가장 높았고 아시아인에서 가장 낮았다. 1형 당뇨병에서는 당뇨병 유병 기간이 길고 당화 혈색소가 높은 경우에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2008~2011년도 국민영양건강조사 자료를 분석한 국내 보고에 따르면 당뇨병이 있는 한국인의 DR, DME, 실명 위험 DR의 유병률은 각각 15.8%, 2.8%, 4.6% 로 다른 아시아 인종에 비해 낮았으며 중국인 27.9~43.1%, 싱가폴 내 말레이 및 인도인 30.4~35%, 도시 지역 인도인의 유병률 (18.0%) 과 유사하였다.10-13,15-17
=== 발생률 ===
=== 발생률 ===
발생률을 살펴본 연구는 유병률 관련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숫자가 적다. WESDR에서 추적 관찰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4년 동안 DR과 DME의 발생률은 각각 34.4~59.0% 와 1.3~4.3% 였으며 2.3~10.5% 에서 [[증식 당뇨 망막병증|PDR]]로 진행하였다.18,19 10년 추적 관찰 결과 DR과 DME의 발생률 은 각각 74% 와 13.9~25.4% 였으며 17%에서 PDR로 진행하였다 20,21 1형 당뇨병 환자가 2형 당뇨병 환자에 비해 DR 발생률 및 PDR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DME는 당화 혈색소가 높고 초기 검진 당시 DR 중증도가 심할수록 발생률이 높았다. 2Q-22
지난 수십 년에 걸쳐 당뇨병 및 DR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치료법이 발달함에 따라 유병률과 발생률은 점차 감소 추세에 있다.23-25 WESDR 에서 1형 당뇨병 환자의 25년 추적 관찰 데이터를 분석 한 결과 마지막 13년 동안의 연간 PDR, CSME, 시각 장애 발생률 및 DR이 진행할 가능성 모두 초기 12년에 비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24 Beaver Dam Eye Study 에서 같은 정도의 당뇨병 유병 기간 (10~14년) 을 가진 2형 당뇨병 환자의 DR 유병률을 진단 시기에 따라 비교해본 결과, 1985년 전, 1985~1989년, 1990~1994년, 1995~1999년에 각각 41.7%, 35.9%, 22.5%, 19.6%로 최근에 진단된 경우일수록 유병률이 점차 감소하였다. 25 다만 이와 같은 DR 유병률의 감소 추세는 대부분 선진국에서 나온 자료이며 당뇨병 환자가 여러 국가에서 늘어나고 있고 개발도상국 내에서 DR의 위험인자인 고혈압 또한 증가 추세임을 감안하였을 때 전세계적으로 DR 환자의 절대 숫자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6-28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비록 약간의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만성적인 고혈당이 당뇨 망막병증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유벙기간 이외에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만성 고혈당증, 고혈압, 임신, 사춘기, 신장 질환, 고지혈증 등이 있다. 사춘기의 영향은 이 시기에 일어나는 성장 호르몬 등의 현저한 호르몬 변회이l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비록 약간의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만성적인 고혈당이 당뇨 망막병증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유벙기간 이외에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만성 고혈당증, 고혈압, 임신, 사춘기, 신장 질환, 고지혈증 등이 있다. 사춘기의 영향은 이 시기에 일어나는 성장 호르몬 등의 현저한 호르몬 변회이l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