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군날개의 치료는 최근 수술적 제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수술은 재발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수술은 현재 간단...) |
잔글 (→안구 표면 이식)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양막 이식 === | === 양막 이식 === | ||
[[양막 이식]] 참고 | [[양막 이식]] 참고 | ||
=== 코점막 이식 === | |||
중증 군날개, [[스티븐스-존슨 증후군]]과 화학 화상에 의한 전체 윤부 결핍, 면역성 각막 궤양, 괴사성 공막염 등의 환자의 수술 시 이식 윤부 조직이 부족하거나 절제해야 할 조직이 너무 광범위할 경우에 대안으로 자가 코점막을 절제부에 함께 이식할 숭 있는데, 코점막은 점액 분비가 풍부하고 각막 및 결막 상피 마커를 발현하며 기저막에서 줄기세포 마커 역시 발현하기 때문에 반흔성 안구 표면 질환에서 유용한 결막 대체제로 사용될 수 있다. | |||
=== 귀구슬 연골막 이식 === | |||
공막 대비 인장 강도가 우수하고 줄기세포 마커 발현이 뚜렷하며 채취가 용이하기 때문에 기존의 공막 이식에 실패하였거나 괴사 부위가 너무 광범위하여 이식 공막 혹은 양막의 생착이 어려울 것이라 예상될 때 매우 유용한 수술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 |||
=== 고어텍스 이식 === | |||
다회 재발성 중증 군날개는 기존 수술 방법에도 또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환자들을 위해 높은 조직 적합성을 가지고 염증 유발이 매우 적은 다공성 poly-4-fluoroethylene (PTFE, 고어텍스) 시트를 군날개 절제 후 눈물 언덕 아래에 삽입하는 술식을 적용해볼 수 있겠다. | |||
== 수술 후 공막염 == | == 수술 후 공막염 == | ||
군날개 수술 후 감염은 드물게 나타나며, 대개 [[미토마이신 씨|mitomycin C]] 투여나 β방사선 조사와 연관 있다. 이런 추가 필요 없이 <span style='color:blue;'>공막 노출법</span>으로 수술한 후 감염 공막염이 발생한 예도 보고되어 있다. 흥미롭게도 수술에 의해 발생한 괴사 공막염과 유사하게 <span style='color:blue;'>1~36년의 긴 잠복기</span>를 가진다. 환자에게는 통증, 충혈, 공막 괴사, 화농 분비물이 나타난다. <span style='color:blue;'><i>P. aeruginosa</i></span>는 수술 후 발생하는 감염 공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다른 원인균으로는 S.pneumoniae, MRSA 등이 있다. | 군날개 수술 후 감염은 드물게 나타나며, 대개 [[미토마이신 씨|mitomycin C]] 투여나 β방사선 조사와 연관 있다. 이런 추가 필요 없이 <span style='color:blue;'>공막 노출법</span>으로 수술한 후 감염 공막염이 발생한 예도 보고되어 있다. 흥미롭게도 수술에 의해 발생한 괴사 공막염과 유사하게 <span style='color:blue;'>1~36년의 긴 잠복기</span>를 가진다. 환자에게는 통증, 충혈, 공막 괴사, 화농 분비물이 나타난다. <span style='color:blue;'><i>P. aeruginosa</i></span>는 수술 후 발생하는 감염 공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 다른 원인균으로는 S.pneumoniae, MRSA 등이 있다. | ||
{{참고|각막}} | {{참고|각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