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바닥 세포)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날개 세포 === | === 날개 세포 === | ||
표층 세포 아래 2~3 층으로 이루어진 날개 세포는 분화도가 중간 단계이며, 세포 내에 케라틴으로 이루어진 당김 미세 섬유 (tonofilament) 가 풍부하다. 인접한 날개 세포의 세포질막은 손가락 돌기 (interdigitation) 형태로 맞물려 있으며 부착 반점, 연접 이음부, 틈새 이음부 등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 표층 세포 아래 2~3 층으로 이루어진 날개 세포는 분화도가 중간 단계이며, 세포 내에 케라틴으로 이루어진 당김 미세 섬유 (tonofilament) 가 풍부하다. 인접한 날개 세포의 세포질막은 손가락 돌기 (interdigitation) 형태로 맞물려 있으며 부착 반점, 연접 이음부, 틈새 이음부 등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 ||
=== | === 바닥세포 === | ||
단층의 원주형 세포 (columnar cell) 이며 직경은 8~10㎛, 두께는 18~20㎛이다. 세포 분열 능력이 있으며, 날개 세포 및 표층 세포로 분화되며, 7~14일 정도가 걸린다. 이전에는 세포 분열 후 한 개의 딸세포가 바닥 세포층에 남고 나머지 한 개만 표면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에 의하면 두 개의 분열 세포 모두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단층의 원주형 세포 (columnar cell) 이며 직경은 8~10㎛, 두께는 18~20㎛이다. 세포 분열 능력이 있으며, 날개 세포 및 표층 세포로 분화되며, 7~14일 정도가 걸린다. 이전에는 세포 분열 후 한 개의 딸세포가 바닥 세포층에 남고 나머지 한 개만 표면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에 의하면 두 개의 분열 세포 모두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바닥세포는 바닥세포 부착 복합체 (basal cell adhesion complex) 를 통해 아래의 바닥막 및 각막 기질에 단단히 부착하여 각막 상피가 안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복합체를 통해 바닥세포는 바닥막과 각막 기질에 부착되며, 다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반결합체 (hemidesmosome) | |||
* 고정원섬유 (anchoring fibril) : 7형 콜라겐 | |||
* 고정반 (anchoring plaque) : 1형 콜라겐 | |||
바닥세포는 바닥막에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바닥막이 온전하다면 상처 치유를 증진시키게 된다. 바닥막은 정상 상태라면 잘 제거되지 않고 또 세포 이주의 발판이 되지만, 바닥막가지 제거된 상태라면 부착 복합체가 재형성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1년 이상 소요되기도 한다. 이는 [[재발성 각막 미란]]의 재발 원인이기도 하다. | |||
== 병리 반응 == | == 병리 반응 == | ||
=== 결손과 치유 === | === 결손과 치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