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두 판 사이의 차이

360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2월 24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회절 다초점 인공 수정체 (dif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 diffractive mfIOL)'''{{백내장}} 는 굴절성 전면과 여러 개의 미세 계단이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절 다초점 인공 수정체 (dif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 diffractive mfIOL)'''{{백내장}} 는 굴절성 전면과 여러 개의 미세 계단이 동심원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Huygens-Fresnel principle을 기초로 만들어진 것으로, 회절에 의해서 빛 에너지의 일부를 소실하지만 근거리와 원거리에 두 개의 초점을 가지게 된다<ref>Davison JA et al.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apodized diffractive IOL. ''JCRS''. 2006 May;32(5):849-58. [https://pubmed.ncbi.nlm.nih.gov/16765805/ 연결]</ref>.
== 원리 ==
== 원리 ==
원거리와 근거리 초점은 회절성 후면에 의해 형성되는데 입사 광선이 후면의 미세 계단 동심원을 지나면서 회절 현상이 일어나 빛의 파동이 휘어진다. 이런 휘어진 파동들은 간섭 현상에 의해 특정 파동은 증대되고, 일부 파동은 상쇄되어 없어지면서 서로 다른 초점을 형성하게 된다. 디자인에 따라 초점을 형성하는 입사 광선의 양이 다르지만  {{색|blue|약 41%는 근거리 초점에 모이고, 또 41%는 원거리 초점에 모이며, 나머지 18%는 초점을 형성하지 못하고 소실된다}}. 근거리 초점의 위치는 후면의 미세 계단의 수와 계단면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데, 계단의 높이는 수 ㎛으로 빛의 파장, 인공수정체 재질, 전방축의 굴절력에 따라 결정된다.
원거리와 근거리 초점은 회절성 후면에 의해 형성되는데 입사 광선이 후면의 미세 계단 동심원을 지나면서 회절 현상이 일어나 빛의 파동이 휘어진다. 이런 휘어진 파동들은 간섭 현상에 의해 특정 파동은 증대되고, 일부 파동은 상쇄되어 없어지면서 서로 다른 초점을 형성하게 된다. 디자인에 따라 초점을 형성하는 입사 광선의 양이 다르지만  {{색|blue|약 41%는 근거리 초점에 모이고, 또 41%는 원거리 초점에 모이며, 나머지 18%는 초점을 형성하지 못하고 소실된다}}. 근거리 초점의 위치는 후면의 미세 계단의 수와 계단면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데, 계단의 높이는 수 ㎛으로 빛의 파장, 인공수정체 재질, 전방축의 굴절력에 따라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