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두 판 사이의 차이

100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2월 24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Smile님이 굴절 다초점 인공 수정체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re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 refractive mfIOL)'''{{백내장}} 는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진 2~5개의 고리 모양 굴절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굴절면은 굴절력이 서로 달라 근거리와 원거리, 중간 거리에 두 개 이상의 초점을 형성한다.
'''굴절 다초점 인공수정체 (re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 refractive mfIOL)'''{{백내장}} 는 서로 다른 초점 거리를 가진 2~5개의 고리 모양 굴절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굴절면은 굴절력이 서로 달라 근거리와 원거리, 중간 거리에 두 개 이상의 초점을 형성한다.
== 종류 ==
* [[렌티스 엠플러스|Lentis® Mplus]]
* [[렌티스 컴포트|Lentis® Comfort]]
== 장점 ==
== 장점 ==
[[회절 다초점 인공수정체]]와 달리 빛의 소실이 거의 없으며, 눈부심, 빛번짐 등의 문제점이 적을 것으로 기대된다<ref>Muñoz G et al Visual function after bilateral implantation of a new zonal refractive aspheric mfIOL. ''JCRS''. 2011 Nov;37(11):2043-52. [https://pubmed.ncbi.nlm.nih.gov/22018366/ 연결]</ref><ref>Alio JL et al. Comparison of a new refractive mfIOL with an inf. segmental near add and a diffractive mfIOL. ''Ophthalmology''. 2012 Mar;119(3):555-63. [https://pubmed.ncbi.nlm.nih.gov/22218147/ 연결]</ref>. 특히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회절 다초점 인공수정체|회절 인공수정체]]의 경우 망막 및 녹내장 등의 질환이 있을 경우 금기로 알려져 있으나 굴절형 타입의 렌티스 계열의 인공수정체의 경우 다른 안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해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는 보고도 있다<ref>Ouchi M et al. Implantation of refractive mfIOL with a surface-embedded near section for cataract eyes complicated with a coexisting ocular pathology. ''Eye (Lond)''. 2015 May;29(5):649-55. [https://pubmed.ncbi.nlm.nih.gov/25744442/ 연결]</ref>.
[[회절 다초점 인공수정체]]와 달리 빛의 소실이 거의 없으며, 눈부심, 빛번짐 등의 문제점이 적을 것으로 기대된다<ref>Muñoz G et al Visual function after bilateral implantation of a new zonal refractive aspheric mfIOL. ''JCRS''. 2011 Nov;37(11):2043-52. [https://pubmed.ncbi.nlm.nih.gov/22018366/ 연결]</ref><ref>Alio JL et al. Comparison of a new refractive mfIOL with an inf. segmental near add and a diffractive mfIOL. ''Ophthalmology''. 2012 Mar;119(3):555-63. [https://pubmed.ncbi.nlm.nih.gov/22218147/ 연결]</ref>. 특히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회절 다초점 인공수정체|회절 인공수정체]]의 경우 망막 및 녹내장 등의 질환이 있을 경우 금기로 알려져 있으나 굴절형 타입의 렌티스 계열의 인공수정체의 경우 다른 안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해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는 보고도 있다<ref>Ouchi M et al. Implantation of refractive mfIOL with a surface-embedded near section for cataract eyes complicated with a coexisting ocular pathology. ''Eye (Lond)''. 2015 May;29(5):649-55. [https://pubmed.ncbi.nlm.nih.gov/25744442/ 연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