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두 판 사이의 차이

14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1월 28일 (금)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 [[우노프로스톤]] (unoprostone)
* [[우노프로스톤]] (unoprostone)
== 부작용 및 합병증 ==
== 부작용 및 합병증 ==
* <span style='color:blue;'>결막 충혈</span> : 가장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이며 보고에 의하면 0.005% latanoprost에서 5~15%, 0.03% bimatoprost에서 15-45%, 0.004% travoprost에서 35-50%, 0.15% unoprostone에서 10-25% 로 알려져 있다. 정도는 대부분이 약한 충혈을 보이고, 시간이 지나면 점점 약해진다고 한다. 이는 염증 반응에 의한 것이 아니라 NO나 neuropeptides의 분비에 의해서 결막 혈관이 확장되어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span style='color:blue;'>결막 충혈</span> ===
가장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이며 보고에 의하면 0.005% latanoprost에서 5~15%, 0.03% bimatoprost에서 15-45%, 0.004% travoprost에서 35-50%, 0.15% unoprostone에서 10-25% 로 알려져 있다. 정도는 대부분이 약한 충혈을 보이고, 시간이 지나면 점점 약해진다고 한다. 이는 염증 반응에 의한 것이 아니라 NO나 neuropeptides의 분비에 의해서 결막 혈관이 확장되어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트라보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가 [[라타노프로스트]]에 비해 더 심한 충혈을 유발한다고 한다.
 
* 홍채 색소 침착 : 멜라닌세포에서 tyrosmase 의 transcription과 활성도가 증가에 되어서 나타나는 비가역적인 변화로 멜라닌의 양이 단순히 증가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홍채 멜라닌 세포 수의 변화는 없다는 보고가 많으며 수많은 연구결과 홍채세포의 악성 변화에 대한 증거는 없었다. 홍채 색소 침착은 약을 끊어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갈색 홍채를 가지는 동양인에서는 임상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 홍채 색소 침착 : 멜라닌세포에서 tyrosmase 의 transcription과 활성도가 증가에 되어서 나타나는 비가역적인 변화로 멜라닌의 양이 단순히 증가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홍채 멜라닌 세포 수의 변화는 없다는 보고가 많으며 수많은 연구결과 홍채세포의 악성 변화에 대한 증거는 없었다. 홍채 색소 침착은 약을 끊어도 호전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나 갈색 홍채를 가지는 동양인에서는 임상적으로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 눈썹이 길어지고 두꺼워지며 색이 짙어짐 : 빈도는 0-52%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perifollicular vessels 내의 칼륨 채널이 열려 혈관이 확장되어서 눈썽의 성장을 자극하기 때문이며, 약을 끊으면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드물기는 하지만 백모증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눈썹이 길어지고 두꺼워지며 색이 짙어짐 : 빈도는 0-52%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perifollicular vessels 내의 칼륨 채널이 열려 혈관이 확장되어서 눈썽의 성장을 자극하기 때문이며, 약을 끊으면 호전되는 양상을 보인다. 드물기는 하지만 백모증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