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타노프로스텐 부노드: 두 판 사이의 차이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2년 1월 28일 (금)
잔글
잔글 (→‎연구)
잔글 (→‎연구)
10번째 줄: 10번째 줄:
안구 내 ubiquitous esterase 에 노출되었을 때, Labanoprost acid과 산화 질소 작용 부분 인 Butanediol mononitrate로 분해된다. 이 과정에서 활성화된 NO donor는 섬유주의 세포부피 감소에 관여하는 칼슘 활성화 칼륨 채널 또는 BKCa 이온 채널 (Large  conductance calcium activated potassium channels)을 활성화시켜 섬유주를 이완시키고 방수 유출을 증가시킨다.
안구 내 ubiquitous esterase 에 노출되었을 때, Labanoprost acid과 산화 질소 작용 부분 인 Butanediol mononitrate로 분해된다. 이 과정에서 활성화된 NO donor는 섬유주의 세포부피 감소에 관여하는 칼슘 활성화 칼륨 채널 또는 BKCa 이온 채널 (Large  conductance calcium activated potassium channels)을 활성화시켜 섬유주를 이완시키고 방수 유출을 증가시킨다.
== 연구 ==
== 연구 ==
=== VOYAGER<ref>Weinreb RN et al; VOYAGER study group. A randomised, controlled comparison of LBN and latanoprost 0.005% in the treatment of OHTN and OAG: the VOYAGER study. ''BJO''. 2015 Jun;99(6):738-45. [https://pubmed.ncbi.nlm.nih.gov/25488946/ 연결] ===
=== VOYAGER<ref>Weinreb RN et al; VOYAGER study group. A randomised, controlled comparison of LBN and latanoprost 0.005% in the treatment of OHTN and OAG: the VOYAGER study. ''BJO''. 2015 Jun;99(6):738-45. [https://pubmed.ncbi.nlm.nih.gov/25488946/ 연결]</ref> ===
LBN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Latanoprost 0.005%와 비교한 연구로 28일간 LBN 0.024%를 1일 1회 점안한 환자군과 latanoprost 0.005%를 1일 1회 점안한 군을 비교하였을 때 LBN군에서 유의하게 더 큰 안압감소 효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LBN 사용 시 순응도 측면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ref>.
LBN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Latanoprost 0.005%와 비교한 연구로 28일간 LBN 0.024%를 1일 1회 점안한 환자군과 latanoprost 0.005%를 1일 1회 점안한 군을 비교하였을 때 LBN군에서 유의하게 더 큰 안압감소 효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LBN 사용 시 순응도 측면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 APOLLO<ref>Weinreb RN et al. LBN 0.024% vs Timolol Maleate 0.5% in Subjects with OAG or OHTN : The APOLLO Study. ''Ophthalmology''. 2016 May;123(5):965-73. [https://pubmed.ncbi.nlm.nih.gov/26875002/ 연결]</ref> ===
=== APOLLO<ref>Weinreb RN et al. LBN 0.024% vs Timolol Maleate 0.5% in Subjects with OAG or OHTN : The APOLLO Study. ''Ophthalmology''. 2016 May;123(5):965-73. [https://pubmed.ncbi.nlm.nih.gov/26875002/ 연결]</ref> ===
Weinreb 등은 원발 개방각 녹내장 및 고안압증 환자 420명을 대상으로 Timolol 0.5%를 1일 2회 사용한 군과 LBN 0.024%를 1일 1회 점안한 군 사이의 안압 하강 효과을 비교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LBN 0.024% 를 점안한 군 (범위, -7.7~-9.1mmHg)은 Timolol 0.5%를 점안한 군 (범위, -6.6~-8.0mmHg)에 비하여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큰 안압감소를 보였다 (P≤0.002). 약물 사용 후 평균 안압이 18mmHg 이하인 환자의 비율은 LBN 0.024% 군과 Timolol 0.5% 군에서 각각 22.9%와 11.3%로 LBN 환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05). Baseline과 비교하여 안압감소치가 25% 이상인 환자의 비율 또한 LBN 0.024% 군의 경우 34.9 %로, Timolol 0.5% 군의 19.5 %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P=0.001).
Weinreb 등은 원발 개방각 녹내장 및 고안압증 환자 420명을 대상으로 Timolol 0.5%를 1일 2회 사용한 군과 LBN 0.024%를 1일 1회 점안한 군 사이의 안압 하강 효과을 비교하기 위해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LBN 0.024% 를 점안한 군 (범위, -7.7~-9.1mmHg)은 Timolol 0.5%를 점안한 군 (범위, -6.6~-8.0mmHg)에 비하여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큰 안압감소를 보였다 (P≤0.002). 약물 사용 후 평균 안압이 18mmHg 이하인 환자의 비율은 LBN 0.024% 군과 Timolol 0.5% 군에서 각각 22.9%와 11.3%로 LBN 환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05). Baseline과 비교하여 안압감소치가 25% 이상인 환자의 비율 또한 LBN 0.024% 군의 경우 34.9 %로, Timolol 0.5% 군의 19.5 %보다 의미있게 높았다 (P=0.001).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