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부 유피종: 두 판 사이의 차이

318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6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윤부 유피종 (limbal dermoid)''' 은 분리종 (choriostoma) 의 일종으로 외배엽과 중배엽 기원의 조직으로 이루어진 선천 양성 종양이며<ref>Mansour...)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윤부 유피종 (limbal dermoid)''' 은 분리종 (choriostoma) 의 일종으로 외배엽과 중배엽 기원의 조직으로 이루어진 선천 양성 종양이며<ref>Mansour AM, Barber JC, Reinecke RD, Wang FM et al. Ocular choristomas. ''Surv Ophthalmol''. 1989 Mar-Apr;33(5):339-58. [https://pubmed.ncbi.nlm.nih.gov/2655139/ 연결]</ref>, 소아에서 안구 위에 발생하는 종양 (epibulbar tumor)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종양 중 하나이다<ref>Elsas FJ et al. Epibulbar tumors in childhood. ''AJO''. 1975 Jun;79(6):1001-7. [https://pubmed.ncbi.nlm.nih.gov/166560/ 연결]</ref><ref>Cunha RP et al. Epibulbar tumors in children : a survey of 282 biopsies.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7 Sep-Oct;24(5):249-54. [https://pubmed.ncbi.nlm.nih.gov/3681613/ 연결]</ref>.
'''윤부 유피종 (limbal dermoid)''' 은 분리종 (choriostoma) 의 일종으로 외배엽과 중배엽 기원의 조직으로 이루어진 선천 양성 종양이며<ref>Mansour AM, Barber JC, Reinecke RD, Wang FM et al. Ocular choristomas. ''Surv Ophthalmol''. 1989 Mar-Apr;33(5):339-58. [https://pubmed.ncbi.nlm.nih.gov/2655139/ 연결]</ref>, 소아에서 안구 위에 발생하는 종양 (epibulbar tumor)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종양 중 하나이다<ref>Elsas FJ et al. Epibulbar tumors in childhood. ''AJO''. 1975 Jun;79(6):1001-7. [https://pubmed.ncbi.nlm.nih.gov/166560/ 연결]</ref><ref>Cunha RP et al. Epibulbar tumors in children : a survey of 282 biopsies.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7 Sep-Oct;24(5):249-54. [https://pubmed.ncbi.nlm.nih.gov/3681613/ 연결]</ref>.
== 임상 양상 ==
== 임상 양상 ==
엷은 황색 또는 흰색의 융기된 병변으로 주로 하이측 윤부에 발생하며 크기의 변화는 거의 없거나 아주 천천히 자란다.
엷은 황색 또는 흰색의 융기된 병변으로 주로 하이측 윤부에 발생하며 크기의 변화는 거의 없거나 아주 천천히 자란다<ref>Nevares RL et al. Ocular dermoids. ''Plast Reconstr Surg'. 1988 Dec;82(6):959-64. [https://pubmed.ncbi.nlm.nih.gov/3200959/ 연결]</ref>.
4,5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으나, 병변 표면의 섬모 등으로 인해 자극감이 발생할 수 있고1 종양으로 인해 각막 표면이 불규칙해지면서 눈물막 불균형을 일으켜, 각막패임이 발생하거나 안구 불편감이 발생할 수 있다.10 특히 소아에서는 윤부유피종이 시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종양이 시축을 가리는 경우나 종양의 지방조직에 의해 분비되는 지방질이 각막에 침착되어 직접적으로 시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고6 동반되는 난시가 시력발달에 영향을 주어 약시가 발생할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으나, 병변 표면의 섬모 등으로 인해 자극감이 발생할 수 있고 종양으로 인해 각막 표면이 불규칙해지면서 눈물막 불균형을 일으켜, 각막패임이 발생하거나 안구 불편감이 발생할 수 있다.10 특히 소아에서는 윤부유피종이 시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종양이 시축을 가리는 경우나 종양의 지방조직에 의해 분비되는 지방질이 각막에 침착되어 직접적으로 시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고6 동반되는 난시가 시력발달에 영향을 주어 약시가 발생할
수 있다.
수 있다<ref>Robb RM. Astigmatic refractive errors a/w limbal dermoids.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96 Jul-Aug;33(4):241-3. [https://pubmed.ncbi.nlm.nih.gov/8827560/ 연결]</ref>.
4,11
4,11
== 조직학적 소견 ==
== 조직학적 소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