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부 유피종: 두 판 사이의 차이

589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6일 (일)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엷은 황색 또는 흰색의 융기된 병변으로 주로 하이측 윤부에 발생하며 크기의 변화는 거의 없거나 아주 천천히 자란다<ref>Nevares RL et al. Ocular dermoids. ''Plast Reconstr Surg'. 1988 Dec;82(6):959-64. [https://pubmed.ncbi.nlm.nih.gov/3200959/ 연결]</ref>.
엷은 황색 또는 흰색의 융기된 병변으로 주로 하이측 윤부에 발생하며 크기의 변화는 거의 없거나 아주 천천히 자란다<ref>Nevares RL et al. Ocular dermoids. ''Plast Reconstr Surg'. 1988 Dec;82(6):959-64. [https://pubmed.ncbi.nlm.nih.gov/3200959/ 연결]</ref>.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으나, 병변 표면의 섬모 등으로 인해 자극감이 발생할 수 있고 종양으로 인해 각막 표면이 불규칙해지면서 눈물막 불균형을 일으켜, 각막패임이 발생하거나 안구 불편감이 발생할 수 있다.10 특히 소아에서는 윤부유피종이 시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종양이 시축을 가리는 경우나 종양의 지방조직에 의해 분비되는 지방질이 각막에 침착되어 직접적으로 시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고6 동반되는 난시가 시력발달에 영향을 주어 약시가 발생할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으나, 병변 표면의 섬모 등으로 인해 자극감이 발생할 수 있고 종양으로 인해 각막 표면이 불규칙해지면서 눈물막 불균형을 일으켜, 각막패임이 발생하거나 안구 불편감이 발생할 수 있다<ref>Scott JA et al. Therapeutic lamellar KP for limbal dermoids. ''Ophthalmology''. 2001 Oct;108(10):1858-67. [https://pubmed.ncbi.nlm.nih.gov/11581063/ 연결]</ref>. 특히 소아에서는 윤부유피종이 시력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종양이 시축을 가리는 경우나 종양의 지방조직에 의해 분비되는 지방질이 각막에 침착되어 직접적으로 시력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있고<ref>Benjamin SN et al. Classification for limbal dermoid choristomas and branchial arch anomalies. Presentation of an unusual case. ''Arch Ophthalmol''. 1972 Mar;87(3):305-14. [https://pubmed.ncbi.nlm.nih.gov/5015220/ 연결]</ref> 동반되는 난시가 시력발달에 영향을 주어 약시가 발생할 수 있다<ref>Robb RM. Astigmatic refractive errors a/w limbal dermoids.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96 Jul-Aug;33(4):241-3. [https://pubmed.ncbi.nlm.nih.gov/8827560/ 연결]</ref><ref>Mansour AM et al. Ocular findings in the facioauriculovertebral sequence (Goldenhar-Gorlin syndrome). ''AJO''. 1985 Oct 15;100(4):555-9. [https://pubmed.ncbi.nlm.nih.gov/4050929/ 연결]</ref>.
수 있다<ref>Robb RM. Astigmatic refractive errors a/w limbal dermoids.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96 Jul-Aug;33(4):241-3. [https://pubmed.ncbi.nlm.nih.gov/8827560/ 연결]</ref>.
 
4,11
== 조직학적 소견 ==
== 조직학적 소견 ==
정상 상피 모양을 보이는 각질화된 중층 편평 상피세포가 표면을 둘러싸고 있고, 내부는 중배엽 기원의 근육, 혈관, 탄력섬유, 지방조직, 연골, 결체조직 등을 포함하는 치밀섬유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낭이나 피지샘, 땀샘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1,6
정상 상피 모양을 보이는 각질화된 중층 편평 상피세포가 표면을 둘러싸고 있고, 내부는 중배엽 기원의 근육, 혈관, 탄력섬유, 지방조직, 연골, 결체조직 등을 포함하는 치밀섬유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낭이나 피지샘, 땀샘 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