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수술) |
잔글 (→비수술 치료)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시기 적절한 수술적 치료는 외사시각의 증가 및 감각 이상의 진행으로 인한 양안 시기능의 비가역적인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적절한 간헐외사시의 수술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어린 연령에서의 수술은 과교정과 재발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가 있는가 한편<ref>Scott AB et al. Quantitative guidelines for XT surgery. ''Invest Ophthalmol''. 1975 Jun;14(6):428-36. [https://pubmed.ncbi.nlm.nih.gov/1132940/ 연결]</ref><ref>Clarke WN et al. Surgical results in IXT. ''Can J Ophthalmol''. 1981 Apr;16(2):66-9. [https://pubmed.ncbi.nlm.nih.gov/7306871/ 연결]</ref>, 나이와 수술 결과는 연관성이 없다는 발표도 있었다. Jampolsky<ref>JAMPOLSKY A. Characteristics of suppression in strabismus. ''AMA Arch Ophthalmol''. 1955 Nov;54(5):683-96. [https://pubmed.ncbi.nlm.nih.gov/13258000/ 연결]</ref>는 최소 4세 이후에 수술적 치료를 할 것을 권유하였고 이로서 사시각을 조금 더 정확하게 측정하고 사시의 진행 정도를 관찰하도록 하였다. 또한 수술 시기를 늦춤으로써 과교정으로 인한 속발내사시와 이로 인한 입체시 소실, 이상 망막 대응, 그리고 약시의 가능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수술 시기를 기다리며 치료 없이 지내는 경우 사시각이 증가하거나 원거리에서의 사시안 억제가 심해질 수 있고<ref> Kim SH, Cho YA. Can we effectively delay surgery for IXT in children less than 4y of age?. ''JKOS'' 1996;37:1382-8.</ref>, 더불어 수술 시기까지의 보호자 부모의 불안감 또한 적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 시기 적절한 수술적 치료는 외사시각의 증가 및 감각 이상의 진행으로 인한 양안 시기능의 비가역적인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적절한 간헐외사시의 수술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어린 연령에서의 수술은 과교정과 재발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가 있는가 한편<ref>Scott AB et al. Quantitative guidelines for XT surgery. ''Invest Ophthalmol''. 1975 Jun;14(6):428-36. [https://pubmed.ncbi.nlm.nih.gov/1132940/ 연결]</ref><ref>Clarke WN et al. Surgical results in IXT. ''Can J Ophthalmol''. 1981 Apr;16(2):66-9. [https://pubmed.ncbi.nlm.nih.gov/7306871/ 연결]</ref>, 나이와 수술 결과는 연관성이 없다는 발표도 있었다. Jampolsky<ref>JAMPOLSKY A. Characteristics of suppression in strabismus. ''AMA Arch Ophthalmol''. 1955 Nov;54(5):683-96. [https://pubmed.ncbi.nlm.nih.gov/13258000/ 연결]</ref>는 최소 4세 이후에 수술적 치료를 할 것을 권유하였고 이로서 사시각을 조금 더 정확하게 측정하고 사시의 진행 정도를 관찰하도록 하였다. 또한 수술 시기를 늦춤으로써 과교정으로 인한 속발내사시와 이로 인한 입체시 소실, 이상 망막 대응, 그리고 약시의 가능성을 줄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수술 시기를 기다리며 치료 없이 지내는 경우 사시각이 증가하거나 원거리에서의 사시안 억제가 심해질 수 있고<ref> Kim SH, Cho YA. Can we effectively delay surgery for IXT in children less than 4y of age?. ''JKOS'' 1996;37:1382-8.</ref>, 더불어 수술 시기까지의 보호자 부모의 불안감 또한 적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 ||
== 비수술 치료 == | == 비수술 치료 == | ||
Caltrider 와 Jampolsky<ref>Caltrider N et al. Overcorrecting minus lens therapy for treatment of IXT. ''Ophthalmology''. 1983 Oct;90(10):1160-5. [https://pubmed.ncbi.nlm.nih.gov/6657190/ 연결]</ref>는 과교정 근시 안경 착용으로, Freeman 과 Isenberg<ref>Freeman RS et al. The use of part-time occlusion for early onset unilateral XT.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9 Mar-Apr;26(2):94-6. [https://pubmed.ncbi.nlm.nih.gov/2709283/ 연결]</ref>는 한눈 가림으로 수술 시기를 지연하고자 하였다. 이밖에도 눈모음 강화훈련, 프리즘 안경 착용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 수술 시기를 늦추고자 하고 | Caltrider 와 Jampolsky<ref>Caltrider N et al. Overcorrecting minus lens therapy for treatment of IXT. ''Ophthalmology''. 1983 Oct;90(10):1160-5. [https://pubmed.ncbi.nlm.nih.gov/6657190/ 연결]</ref>는 과교정 근시 안경 착용으로, Freeman 과 Isenberg<ref>Freeman RS et al. The use of part-time occlusion for early onset unilateral XT.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9 Mar-Apr;26(2):94-6. [https://pubmed.ncbi.nlm.nih.gov/2709283/ 연결]</ref>는 한눈 가림으로 수술 시기를 지연하고자 하였다. 이밖에도 눈모음 강화훈련, 프리즘 안경 착용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 수술 시기를 늦추고자 하고 있으나<ref>Park JY et al. Is the nonsurgical treatment effective on IXT in children of school-age?. ''JKOS'' 1995;36:1561-7.</ref> 한계가 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