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2년 2월 14일 (월)
잔글
14번째 줄: 14번째 줄:


== 위험 인자 ==
== 위험 인자 ==
비록 약간의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만성적인 고혈당이 당뇨 망막병증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유벙기간 이외에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만성 고혈당증, 고혈압, 임신, 사춘기, 신장 질환, 고지혈증 등이 있다. 사춘기의 영향은 이 시기에 일어나는 성장 호르몬 등의 현저한 호르몬 변회이l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비록 약간의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만성적인 고혈당이 당뇨 망막병증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당뇨병의 유벙기간 이외에 당뇨 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는 만성 고혈당증, 고혈압, 임신, 사춘기, 신장 질환, 고지혈증 등이 있다. 사춘기의 영향은 이 시기에 일어나는 성장 호르몬 등의 현저한 호르몬 변화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분류 ==
== 분류 ==
*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 (nonproliferative DMR; NPDR) : [[ETDRS]] 에서는 아래의 두 경우를 합쳐서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 [[비증식 당뇨 망막병증]] (nonproliferative DMR; NPDR) : [[ETDRS]] 에서는 아래의 두 경우를 합쳐서 '비증식성 당뇨 망막병증'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