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분류) |
잔글 (→발생률)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발생률을 살펴본 연구는 유병률 관련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숫자가 적다. WESDR에서 추적 관찰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4년 동안 DR과 DME의 발생률은 각각 34.4~59.0% 와 1.3~4.3% 였으며 2.3~10.5% 에서 [[증식 당뇨 망막병증|PDR]]로 진행하였다<ref>Klein R et al. The WESDR. IX. 4y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DR when age at diagnosis is less than 30y. ''Arch Ophthalmol''. 1989 Feb;107(2):237-43. [https://pubmed.ncbi.nlm.nih.gov/2916977/ 연결]</ref><ref>Klein R et al. The WESDR. X. 4y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DR when age at diagnosis is 30 years or more. ''Arch Ophthalmol''. 1989 Feb;107(2):244-9. [https://pubmed.ncbi.nlm.nih.gov/2644929/ 연결]</ref>. 10년 추적 관찰 결과 DR과 DME의 발생률 은 각각 74% 와 13.9~25.4% 였으며 17%에서 PDR로 진행하였다<ref>Klein R et al. The WESDR. XIV. 10y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DR. ''Arch Ophthalmol''. 1994 Sep;112(9):1217-28. doi: 10.1001/archopht.1994.01090210105023. PMID: 7619101.</ref><ref>Klein R et al. The WESDR. XV. The long-term incidence of ME. ''Ophthalmology''. 1995 Jan;102(1):7-16. [https://pubmed.ncbi.nlm.nih.gov/7831044/ 연결]</ref>. 1형 당뇨병 환자가 2형 당뇨병 환자에 비해 DR 발생률 및 PDR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DME는 당화 혈색소가 높고 초기 검진 당시 DR 중증도가 심할수록 발생률이 높았다<ref>Klein R et al. The WESDR. XI. The incidence of ME. ''Ophthalmology''. 1989 Oct;96(10):1501-10. [https://pubmed.ncbi.nlm.nih.gov/2587045/ 연결]</ref>. | 발생률을 살펴본 연구는 유병률 관련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숫자가 적다. WESDR에서 추적 관찰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4년 동안 DR과 DME의 발생률은 각각 34.4~59.0% 와 1.3~4.3% 였으며 2.3~10.5% 에서 [[증식 당뇨 망막병증|PDR]]로 진행하였다<ref>Klein R et al. The WESDR. IX. 4y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DR when age at diagnosis is less than 30y. ''Arch Ophthalmol''. 1989 Feb;107(2):237-43. [https://pubmed.ncbi.nlm.nih.gov/2916977/ 연결]</ref><ref>Klein R et al. The WESDR. X. 4y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DR when age at diagnosis is 30 years or more. ''Arch Ophthalmol''. 1989 Feb;107(2):244-9. [https://pubmed.ncbi.nlm.nih.gov/2644929/ 연결]</ref>. 10년 추적 관찰 결과 DR과 DME의 발생률 은 각각 74% 와 13.9~25.4% 였으며 17%에서 PDR로 진행하였다<ref>Klein R et al. The WESDR. XIV. 10y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DR. ''Arch Ophthalmol''. 1994 Sep;112(9):1217-28. doi: 10.1001/archopht.1994.01090210105023. PMID: 7619101.</ref><ref>Klein R et al. The WESDR. XV. The long-term incidence of ME. ''Ophthalmology''. 1995 Jan;102(1):7-16. [https://pubmed.ncbi.nlm.nih.gov/7831044/ 연결]</ref>. 1형 당뇨병 환자가 2형 당뇨병 환자에 비해 DR 발생률 및 PDR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DME는 당화 혈색소가 높고 초기 검진 당시 DR 중증도가 심할수록 발생률이 높았다<ref>Klein R et al. The WESDR. XI. The incidence of ME. ''Ophthalmology''. 1989 Oct;96(10):1501-10. [https://pubmed.ncbi.nlm.nih.gov/2587045/ 연결]</ref>. | ||
지난 수십 년에 걸쳐 당뇨병 및 DR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치료법이 발달함에 따라 유병률과 발생률은 점차 감소 추세에 있다.23-25 WESDR 에서 1형 당뇨병 환자의 25년 추적 관찰 데이터를 분석 한 결과 마지막 13년 동안의 연간 PDR, CSME, 시각 장애 발생률 및 DR이 진행할 가능성 모두 초기 12년에 비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지난 수십 년에 걸쳐 당뇨병 및 DR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치료법이 발달함에 따라 유병률과 발생률은 점차 감소 추세에 있다.23-25 WESDR 에서 1형 당뇨병 환자의 25년 추적 관찰 데이터를 분석 한 결과 마지막 13년 동안의 연간 PDR, CSME, 시각 장애 발생률 및 DR이 진행할 가능성 모두 초기 12년에 비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Klein R. Are individuals with diabetes seeing better? : a long-term epidemiological perspective. ''Diabetes''. 2010 Aug;59(8):1853-60. [https://pubmed.ncbi.nlm.nih.gov/20668290/ 연결]</ref>. Beaver Dam Eye Study 에서 같은 정도의 당뇨병 유병 기간 (10~14년) 을 가진 2형 당뇨병 환자의 DR 유병률을 진단 시기에 따라 비교해본 결과, 1985년 전, 1985~1989년, 1990~1994년, 1995~1999년에 각각 41.7%, 35.9%, 22.5%, 19.6%로 최근에 진단된 경우일수록 유병률이 점차 감소하였다<ref>Klein R et al. Is the prevalence of visual impairment rising or falling in the people with DM? It depends on who you study. ''JAMA Ophthalmol''. 2013 Jul;131(7):948-50. [https://pubmed.ncbi.nlm.nih.gov/24015401/ 연결]</ref>. 다만 이와 같은 DR 유병률의 감소 추세는 대부분 선진국에서 나온 자료이며 당뇨병 환자가 여러 국가에서 늘어나고 있고 개발도상국 내에서 DR의 위험인자인 고혈압 또한 증가 추세임을 감안하였을 때 전세계적으로 DR 환자의 절대 숫자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6-28 | ||
== 위험 인자 == | == 위험 인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