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관련 황반변성: 두 판 사이의 차이

132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15일 (화)
잔글
잔글 (→‎기타)
46번째 줄: 46번째 줄:


=== 기타 ===
=== 기타 ===
대부분의 연구에서 연령을 보정한 뒤 남성과 여성 사이의 AMD의 발생 빈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국내의 연구에서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남녀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몇몇 연구에서는 여성이 조금 더 유병률이 높다는 보고를 하기도 하였다.
* 성별 : 대부분의 연구에서 연령을 보정한 뒤 남성과 여성 사이의 AMD의 발생 빈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국내의 연구에서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남녀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몇몇 연구에서는 여성이 조금 더 유병률이 높다는 보고를 하기도 하였다.
* 음주 : 음주와 AMD 사이의 관련성은 여러 연구들에서 일관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43-46
* 햇빛 노출 : 논란이 되고 있다<ref>Seddon JM et al. The epidemiology of AMD. ''Int Ophthalmol Clin''. 2004 Fall;44(4):17-39. [https://pubmed.ncbi.nlm.nih.gov/15577562/ 연결]</ref>. 대체적으로 자외선 노출과 AMD 위험도에는 강한 관련은 없으나 작은 영향은 배제할 수는 없다.  


음주와 AMD 사이의 관련성은 여러 연구들에서 일관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43-46
2008~2011년에 걸쳐 시행된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결과에서 HBsAg과 빈혈이 초기 AMD 발생에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또한 혈중 중금속과 AMD 발생 사이의 관계를 밝혔는데, 독성 중금속 중 하나인 납은 초기 및 후기 AMD 발생과 모두 관련이 있으며 수은과 카드뮴은 후기 AMD 발생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체내 필수 요소인 망간과 아연의 경우 큰 관련이 없으며 후기 AMD 발생에 보호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음을 보였다<ref>Park SJ et al; Epidemiologic Survey Committee of KOS. 5 heavy metallic elements and AMD: KNHNES, 2008-2011. ''Ophthalmology''. 2015 Jan;122(1):129-37. [https://pubmed.ncbi.nlm.nih.gov/25225109/ 연결]</ref>.


햇빛 노출과 나이 관련황반변성의 관계는 논란이 되고 있다 40 대체적으로 자외선 노출과 AMD 위험도에는 강한 관련은 없으나 작은 영향은 배제할 수는 없다.
2008~2011년에 걸쳐 시행된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결과에서 HBsAg과 빈혈이 초기 AMD 발생에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또한 혈중 중금속과 AMD 발생 사이의 관계를 밝혔는데, 독성 중금속 중 하나인 납은 초기 및 후기 AMD 발생과 모두 관련이 있으며 수은과 카드뮴은 후기 AMD 발생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체내 필수 요소인 망간과 아연의 경우 큰 관련이 없으며 후기 AMD 발생에 보호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음을 보였다<ref>Park SJ et al; Epidemiologic Survey Committee of KOS. 5 heavy metallic elements and AMD: KNHNES, 2008-2011. ''Ophthalmology''. 2015 Jan;122(1):129-37. [https://pubmed.ncbi.nlm.nih.gov/25225109/ 연결]</ref>.
== 해부학적 변화 ==
== 해부학적 변화 ==
이러한 다양한 기전으로 RPE에 이상이 오며, 기저 침착물이 축적되고, [[브루크막]] 두께가 증가 하며, RPE의 비대, 과다 형성,위축에 의해 불규칙한 색소 침착이 발생한다.130,131 브루크막의 변화는 다시금 RPE와 CNV의 이상을 초래하여,15,131 CNV는 죽상경화성 변화를 보이거나 감소된다.8 RPE 이상에 의해 [[연성 드루젠|연성]] 혹은 융합 드루젠이 발생하고, 이는 이후 드루젠의 흡수와 RPE 소실에 의한 저색소 침착에 의해 [[지도모양 위축]]로 진행 할 수 있다.6 또한, 맥락막 혈관의 감소는 혈액 공급을 감소시켜 염증 환경을 유발하고, 이는 저산소 환경에 놓인 RPE가 분비하는 VEGF와 함께 CNV를 초래하여 삼출성 AMD의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ref>Kauppinen A et al. Inflammation and its role in AMD. ''Cell Mol Life Sci''. 2016 May;73(9):1765-86. [https://pubmed.ncbi.nlm.nih.gov/26852158/ 연결]</ref>.
이러한 다양한 기전으로 RPE에 이상이 오며, 기저 침착물이 축적되고, [[브루크막]] 두께가 증가 하며, RPE의 비대, 과다 형성,위축에 의해 불규칙한 색소 침착이 발생한다.130,131 브루크막의 변화는 다시금 RPE와 CNV의 이상을 초래하여,15,131 CNV는 죽상경화성 변화를 보이거나 감소된다.8 RPE 이상에 의해 [[연성 드루젠|연성]] 혹은 융합 드루젠이 발생하고, 이는 이후 드루젠의 흡수와 RPE 소실에 의한 저색소 침착에 의해 [[지도모양 위축]]로 진행 할 수 있다.6 또한, 맥락막 혈관의 감소는 혈액 공급을 감소시켜 염증 환경을 유발하고, 이는 저산소 환경에 놓인 RPE가 분비하는 VEGF와 함께 CNV를 초래하여 삼출성 AMD의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ref>Kauppinen A et al. Inflammation and its role in AMD. ''Cell Mol Life Sci''. 2016 May;73(9):1765-86. [https://pubmed.ncbi.nlm.nih.gov/26852158/ 연결]</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