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감별 진단) |
잔글 (→감별 진단)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 감별 진단 == | == 감별 진단 == | ||
SSOH는 시신경테의 두께 감소 및 망막 신경섬유층의 결손이 동반되며 이에 상응하는 시야 결손이 있다는 점에서 녹내장성 시신경병증과 유사점이 있으며, 특 | SSOH는 시신경테의 두께 감소 및 망막 신경섬유층의 결손이 동반되며 이에 상응하는 시야 결손이 있다는 점에서 녹내장성 시신경병증과 유사점이 있으며, 특 | ||
히 안압이 상승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정상 안압 녹내장]] (NTG) 과 감별 진단을 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Brais 등<ref>Brais P et al. The temporal field in chronic simple glaucoma. ''Arch Ophthalmol''. 1972 Nov;88(5):518-22. [https://pubmed.ncbi.nlm.nih.gov/4634790/ 연결]<ref>에 따르면 녹내장 환자에서 이측의 시야결손이 유일한 시야 변화일 수 있고, 강 등<ref>강자헌 등, 이측 시야 결손만을 보이는 정상 안압 녹내장 환자 7예, ''JKOS'' 2002;43(11):2175-2178</ref>에 따르면 정상안압 녹내장 환자에서 시신경테의 nasal cup edge의 undermining이 관찰될 수 있다고 하였으므로 이와 SSOH와의 감별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 | 히 안압이 상승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정상 안압 녹내장]] (NTG) 과 감별 진단을 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Brais 등<ref>Brais P et al. The temporal field in chronic simple glaucoma. ''Arch Ophthalmol''. 1972 Nov;88(5):518-22. [https://pubmed.ncbi.nlm.nih.gov/4634790/ 연결]</ref>에 따르면 녹내장 환자에서 이측의 시야결손이 유일한 시야 변화일 수 있고, 강 등<ref>강자헌 등, 이측 시야 결손만을 보이는 정상 안압 녹내장 환자 7예, ''JKOS'' 2002;43(11):2175-2178</ref>에 따르면 정상안압 녹내장 환자에서 시신경테의 nasal cup edge의 undermining이 관찰될 수 있다고 하였으므로 이와 SSOH와의 감별이 더욱 어려울 수 있다. | ||
서 등<ref>서정원 등, OCT를 이용한 SSOH 환자의 RNFL 두께 분석, ''JKOS'' 2009;50(1):139-144.</ref>은 상비측 시신경테의 두께 감소와 이에 연한 망막신경섬유층 결손이 관찰되는 환자에서 상측으로 치우친 중심망막혈관 기시부 및 Humphrey 시야 검사에서 비에룸 영역을 벗어난 중심 20° 밖의 특징적인 하측 시야 결손을 보이는 것이 SSOH를 진단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점이라 제시하였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른 질환의 진행 여부가 두 질환을 감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참고}} | 서 등<ref>서정원 등, OCT를 이용한 SSOH 환자의 RNFL 두께 분석, ''JKOS'' 2009;50(1):139-144.</ref>은 상비측 시신경테의 두께 감소와 이에 연한 망막신경섬유층 결손이 관찰되는 환자에서 상측으로 치우친 중심망막혈관 기시부 및 Humphrey 시야 검사에서 비에룸 영역을 벗어난 중심 20° 밖의 특징적인 하측 시야 결손을 보이는 것이 SSOH를 진단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점이라 제시하였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른 질환의 진행 여부가 두 질환을 감별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참고}} | ||
[[분류:신경안과]] | [[분류:신경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