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렛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2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22일 (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Association, 2013;81-5.</ref>.
Association, 2013;81-5.</ref>.
== 병인 ==
== 병인 ==
전두엽 혹은 기저핵의 병변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나 아직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1 기저핵은 선조체라고도 칭하며 부분적으로 시상을 둘러싸고 있고, 대뇌 피질과 백질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운동을 통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신경전달물질 특히, 도파민계의 불균형도 원인으로 추측되며 도파민 억제제가 치료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ref>Robertson MM. The Gilles de la Tourette syndrome: the current status. ''Br J Psychiatry''. 1989 Feb;154:147-69. [https://pubmed.ncbi.nlm.nih.gov/2673473/ 연결]</ref>.
전두엽 혹은 기저핵의 병변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나 아직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ref name=r2>Jankovic J. Tourette's syndrome. ''NEJM''. 2001 Oct 18;345(16):1184-92. [https://pubmed.ncbi.nlm.nih.gov/11642235/ 연결]</ref>. 기저핵은 선조체라고도 칭하며 부분적으로 시상을 둘러싸고 있고, 대뇌 피질과 백질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운동을 통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신경전달물질 특히, 도파민계의 불균형도 원인으로 추측되며 도파민 억제제가 치료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ref>Robertson MM. The Gilles de la Tourette syndrome: the current status. ''Br J Psychiatry''. 1989 Feb;154:147-69. [https://pubmed.ncbi.nlm.nih.gov/2673473/ 연결]</ref>.


틱은 피질-선조체-시상-피질(cortico-striato-thalamo-cortical [CSTC]) 회로의 기능이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상에서의 신호 방출이 부조화하게 되어 전두엽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며 CSTC 회로 내에서 운동과 안와전두 부분의 상호작용에 혼란을 초래하게 되어서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ref>Leckman JF et al. Neurobiological substrates of Tourette's disorder.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10 Aug;20(4):237-47. [https://pubmed.ncbi.nlm.nih.gov/20807062/ 연결]</ref>.
틱은 피질-선조체-시상-피질(cortico-striato-thalamo-cortical [CSTC]) 회로의 기능이상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상에서의 신호 방출이 부조화하게 되어 전두엽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며 CSTC 회로 내에서 운동과 안와전두 부분의 상호작용에 혼란을 초래하게 되어서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ref>Leckman JF et al. Neurobiological substrates of Tourette's disorder.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10 Aug;20(4):237-47. [https://pubmed.ncbi.nlm.nih.gov/20807062/ 연결]</ref>.
18번째 줄: 18번째 줄:
# 장애는 자극제 같은 물질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닐 경우
# 장애는 자극제 같은 물질의 생리적 효과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인한 것이 아닐 경우
== 치료 ==
== 치료 ==
나이가 들수록 호전되는 경향이 있고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심리적 지지 치료를 병행함으로써 호전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고 오래가는 경우에는 약물 치료를 병행하게 된다<ref>Jankovic J. Tourette's syndrome. ''NEJM''. 2001 Oct 18;345(16):1184-92. [https://pubmed.ncbi.nlm.nih.gov/11642235/ 연결]</ref>.
나이가 들수록 호전되는 경향이 있고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심리적 지지 치료를 병행함으로써 호전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고 오래가는 경우에는 약물 치료를 병행하게 된다<ref name=r2 />.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