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진단 기준) |
잔글 (→망막 박리)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안구운동 발작 (oculogyric crisis) 을 의미하며, 긴장성 안구 편위로 이어지는 외안근의 경련을 뜻한다. 각 경련은 몇 초에서 몇 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고, | 안구운동 발작 (oculogyric crisis) 을 의미하며, 긴장성 안구 편위로 이어지는 외안근의 경련을 뜻한다. 각 경련은 몇 초에서 몇 시간까지 지속될 수 있고, | ||
발작은 몇 주에서 몇 달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ref>Poston KL et al. Movement disorder emergencies. ''J Neurol''. 2008 Aug;255 Suppl 4:2-13. [https://pubmed.ncbi.nlm.nih.gov/18821080/ 연결]</ref>. 눈꺼풀 연축과 불수의적 주시 이상은 헌팅턴 무도병, 특발성 기저핵 석회화와 진행 핵상마비 같은 추체외로계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서 관찰된다. 추체외로계는 피질하핵과 기저핵을 의미하며 운동 활동에 영향을 준다<ref>Lee J et al. Neuroanatomy, Extrapyramidal System. 2021 Oct 30.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2 Jan–. [https://pubmed.ncbi.nlm.nih.gov/32119429/ 연결]</ref>. | 발작은 몇 주에서 몇 달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ref>Poston KL et al. Movement disorder emergencies. ''J Neurol''. 2008 Aug;255 Suppl 4:2-13. [https://pubmed.ncbi.nlm.nih.gov/18821080/ 연결]</ref>. 눈꺼풀 연축과 불수의적 주시 이상은 헌팅턴 무도병, 특발성 기저핵 석회화와 진행 핵상마비 같은 추체외로계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서 관찰된다. 추체외로계는 피질하핵과 기저핵을 의미하며 운동 활동에 영향을 준다<ref>Lee J et al. Neuroanatomy, Extrapyramidal System. 2021 Oct 30.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2 Jan–. [https://pubmed.ncbi.nlm.nih.gov/32119429/ 연결]</ref>. | ||
=== | === 자해성 외상 === | ||
Lim 등<ref>Lim S et al. Self-induced, bilateral RD in Tourette syndrome. Arch Ophthalmol. 2004 Jun;122(6):930-1. [https://pubmed.ncbi.nlm.nih.gov/15197076/ 연결]</ref>은 눈을 지속적으로 찌르는 운동 틱에 의해 양측성 망막 박리가 발생될 수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 Lim 등<ref>Lim S et al. Self-induced, bilateral RD in Tourette syndrome. Arch Ophthalmol. 2004 Jun;122(6):930-1. [https://pubmed.ncbi.nlm.nih.gov/15197076/ 연결]</ref>은 눈을 지속적으로 찌르는 운동 틱에 의해 양측성 망막 박리가 발생될 수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Margo<ref>Margo CE. Tourette syndrome and iatrogenic eye injury. ''AJO''. 2002 Nov;134(5):784-5. [https://pubmed.ncbi.nlm.nih.gov/12429267/ 연결]</ref>는 뚜렛 증후군을 가진 환자 두 명에서 눈 검사 중 갑작스런 눈 움직임에 의해 발생한 결막 열상과 각막 찰과상의 증례를 보고한 바 있고, 최근 눈을 비비는 운동 틱에 의해 유발된 양측성 [[원추각막]]의 증례들이 보고되었다<ref>Kandarakis A et al. A case of bilateral self-induced KC in a patient with tourette syndrome a/w compulsive eye rubbing : case report. ''BMC Ophthalmol''. 2011 Sep 21;11:28. [https://pubmed.ncbi.nlm.nih.gov/21936935/ 연결]</ref><ref>Mashor RS et al. KC caused by eye rubbing in patients w Tourette Syndrome. ''Can J Ophthalmol''. 2011 Feb;46(1):83-6. [https://pubmed.ncbi.nlm.nih.gov/21283164/ 연결]</ref>. 권 등<ref>권순재 등, 뚜렛 증후군을 가진 15세 소아에서 발생한 양안 RD, ''JKOS'' 2012;53(11):1704-170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8520 연결]</ref>은 거상연 해리를 동반한 거대 망막 열공을 보고하였다. | ||
== 진단 기준 (DSM-5) == | == 진단 기준 (DSM-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