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리버셉트: 두 판 사이의 차이

203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2월 22일 (화)
잔글
18번째 줄: 18번째 줄:
== 세부 인정 기준 및 방법<ref>보건복지부 고시 제2017-215호 (2017-11-27) [http://www.mohw.go.kr/upload/viewer/skin/doc.html?fn=1511858645414_20171128174405.hwp&rs=/upload/viewer/result/202008/ 연결]</ref> ==
== 세부 인정 기준 및 방법<ref>보건복지부 고시 제2017-215호 (2017-11-27) [http://www.mohw.go.kr/upload/viewer/skin/doc.html?fn=1511858645414_20171128174405.hwp&rs=/upload/viewer/result/202008/ 연결]</ref> ==
허가 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 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 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br />※ 황반 부종은 빛간섭 단층 촬영 (OCT) 소견에서 황반 두께가 300㎛이상인 경우
허가 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 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 기준 이외에는 약값 전액을 환자가 부담토록 함.<br />※ 황반 부종은 빛간섭 단층 촬영 (OCT) 소견에서 황반 두께가 300㎛이상인 경우
=== 신생혈관성 (습성) 나이 관련 황반 변성 ===
===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신생혈관성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
==== 투여 대상 ====
==== 투여 대상 ====
나이 관련 황반 변성에 의한 황반하 맥락막 신생혈관을 가진 환자.
나이 관련 황반 변성에 의한 황반하 맥락막 신생혈관을 가진 환자.
(다만, 반흔화된 경우나 위축이 심한 경우 등은 투여 대상에서 제외함)
(다만, 반흔화된 경우나 위축이 심한 경우 등은 투여 대상에서 제외함)
==== 투여 방법 ====
==== 투여 방법 ====
* 초기 3회 투여 후에도 치료효과가 보이지 않으면 그 이후 투여는 급여로 인정하지 아니함.
* 초기 3회 투여 후에도 치료 효과가 보이지 않으면 그 이후 투여는 급여로 인정하지 아니함.
* [[브롤루시주맙]] 또는 [[라니비주맙]] 주사제에서 동 약제로 교체 (투여 소견서 첨부) 하여 3회 투여 후에도 치료 효과가 보이지 않으면 그 이후 투여는 급여로 인정하지 아니함.
* [[브롤루시주맙]]<ref>보건복지부 고시 제 2021-101호,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약제)」일부개정 안내, 2021-03-30</ref> 또는 [[라니비주맙]] 주사제에서 동 약제로 교체 (투여 소견서 첨부) 하여 3회 투여 후에도 치료 효과가 보이지 않으면 그 이후 투여는 급여로 인정하지 아니함.
* 5회 투여부터는 교정시력이 0.1이하인 경우 급여로 인정하지 아니함. (단안시의 경우 사례별로 인정)
* 5회 투여부터는 교정시력이 0.1 이하인 경우 급여로 인정하지 아니함. (단안시의 경우 사례별로 인정)
(verteporfin (품명 : 비쥬다인) 과의 병용투여는 급여로 인정하지 아니함.)
(verteporfin (품명 : 비쥬다인) 과의 병용 투여는 급여로 인정하지 아니함.)


=== [[당뇨 황반부종]] ===
=== [[당뇨 황반부종]] ===
* 투여 대상: 중심 망막 두께가 300㎛ 이상인 경우
* 투여 대상: 중심 망막 두께가 300㎛ 이상인 경우
* 투여 횟수: 환자당 총 14회 이내(Ranibizumab 주사제 투여횟수 포함)
* 투여 횟수: 환자당 총 14회 이내 ([[라니비주맙]] 주사제 투여횟수 포함)


=== [[망막 분지 정맥 폐쇄]]성 황반 부종 ===
=== [[망막 분지 정맥 폐쇄]]성 황반 부종 ===
37번째 줄: 37번째 줄:
* 반대편 눈의 최대 교정 시력이 0.4 이상인 경우는 발병 2∼3개월이 경과하여도 황반 부종이 지속되면서 최대 교정 시력이 0.5 이하인 경우
* 반대편 눈의 최대 교정 시력이 0.4 이상인 경우는 발병 2∼3개월이 경과하여도 황반 부종이 지속되면서 최대 교정 시력이 0.5 이하인 경우
==== 투여 횟수 ====
==== 투여 횟수 ====
단안당 총 5회 이내(Ranibizumab 주사제 투여횟수 포함)
단안 당 총 5회 이내([[라니비주맙]] 주사제 투여횟수 포함)
=== 병적 근시로 인한 [[맥락막 신생혈관]] 형성 ===
=== 병적 근시로 인한 [[맥락막 신생혈관]] 형성 ===
* 투여 횟수 : 단안 당 총 5회 이내 (진단 후 12개월 이내) ([[라니비주맙|ranibizumab]] 주사제 투여횟수 포함)
* 투여 횟수 : 단안 당 총 5회 이내 (진단 후 12개월 이내) ([[라니비주맙]] 주사제 투여횟수 포함)
 
== 관련 연구 ==
== 관련 연구 ==
* [[VIEW 1]]<ref>Heier JS et al; VIEW 1 and VIEW 2 Study Groups. Intravitreal aflibercept (VEGF trap-eye) in wAMD. ''Ophthalmology''. 2012 Dec;119(12):2537-48. [https://pubmed.ncbi.nlm.nih.gov/23084240/ 연결]</ref>
* [[VIEW 1]]<ref>Heier JS et al; VIEW 1 and VIEW 2 Study Groups. Intravitreal aflibercept (VEGF trap-eye) in wAMD. ''Ophthalmology''. 2012 Dec;119(12):2537-48. [https://pubmed.ncbi.nlm.nih.gov/23084240/ 연결]</ref>
* [[VIEW 2]]<ref>Schmidt-Erfurth U et al. Intravitreal aflibercept injection for wAMD : 96w results of the VIEW studies. ''Ophthalmology''. 2014 Jan;121(1):193-201. [https://pubmed.ncbi.nlm.nih.gov/24084500/ 연결]</ref>
* [[VIEW 2]]<ref>Schmidt-Erfurth U et al. Intravitreal aflibercept injection for wAMD : 96w results of the VIEW studies. ''Ophthalmology''. 2014 Jan;121(1):193-201. [https://pubmed.ncbi.nlm.nih.gov/24084500/ 연결]</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