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원인)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전체 망막동맥 폐쇄의 약 1/3에서 관찰된다. 안저 검사에서 폐쇄된 분지동맥의 분포에 따라 국소적인 망막 혼탁이 하얗게 나타나며, 90% 이상 귀쪽 망막 분지동맥에서 발생한다. | 전체 망막동맥 폐쇄의 약 1/3에서 관찰된다. 안저 검사에서 폐쇄된 분지동맥의 분포에 따라 국소적인 망막 혼탁이 하얗게 나타나며, 90% 이상 귀쪽 망막 분지동맥에서 발생한다. | ||
== 원인 == | == 원인 == | ||
[[망막 | [[망막 중심동맥 폐쇄]]를 일으키는 전신질환들이 모두 기능성이 있으므로 검사는 동일하게 시행하여야 한다. 폐쇄가 동맥의 분지부위에 발생한 경우 다른 부위에서 발생한 경우보다 색전에 의해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 ||
== 임상 소견 == | == 임상 소견 == | ||
망막 혼탁은 저산소증에 의해 신경섬유층의 축삭 형질 흐름이 막혀서 발생하며, 허혈성 변화가 나타난 영역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더 진하게 나타나고, 후극부에서 가장 두드러진다.<br />[[홍채 혈관신생]]의 발생은 거의 없지만, 때때 로 당뇨병 환자에서는 후안부 신생혈관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동맥간 우회혈관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질병 특유의 징후이다. | 망막 혼탁은 저산소증에 의해 신경섬유층의 축삭 형질 흐름이 막혀서 발생하며, 허혈성 변화가 나타난 영역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더 진하게 나타나고, 후극부에서 가장 두드러진다.<br />[[홍채 혈관신생]]의 발생은 거의 없지만, 때때 로 당뇨병 환자에서는 후안부 신생혈관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동맥간 우회혈관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질병 특유의 징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