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자 레이저 광응고: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2년 2월 25일 (금)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 (→‎효과)
 
3번째 줄: 3번째 줄:
대개 0.1초, 100㎛ 크기로 중등도의 백색 응고가 일어나도록 하며 중심와 무혈관 부위 안쪽으로 넘지 않도록 그리고 대혈관궁보다 주변부로 넘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대개 0.1초, 100㎛ 크기로 중등도의 백색 응고가 일어나도록 하며 중심와 무혈관 부위 안쪽으로 넘지 않도록 그리고 대혈관궁보다 주변부로 넘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 효과 ==
== 효과 ==
1980년대에 시행된 [[BV0S]]<ref>BVOS group,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for BRVO ME. ''AJO''. 1984 Sep 15;98(3):271-82. [https://pubmed.ncbi.nlm.nih.gov/6383055/ 연결]</ref>는 다기관 무작위 대조 임상연구로서, 황반부종으로 시력이 저하되었을 때, 격자 레이저 광응고로 시력 감소를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레이저 치료 후 평균 최종 시력은 20/40~20/50을 보여 치료를 하지 않은 대조군의 20/70에 비해 유의한 시력 호전을 보였고, 2줄 이상의 시력 개선이 일어난 환자는 레이저군의 65%에서, 대조군의 37%에서 관찰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2줄 이상의 시력 상실을 나타낸 환자는 양 군 간에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심와 부위에 비허혈성 황반부종이 있는 경우는 해당되지 않고, 중심와의 망막 출혈이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제한이 있어 최근에는 거의 시행하지 않고 있다.
1980년대에 시행된 [[BVOS]]<ref>BVOS group, Argon laser photocoagulation for BRVO ME. ''AJO''. 1984 Sep 15;98(3):271-82. [https://pubmed.ncbi.nlm.nih.gov/6383055/ 연결]</ref>는 다기관 무작위 대조 임상연구로서, 황반부종으로 시력이 저하되었을 때, 격자 레이저 광응고로 시력 감소를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레이저 치료 후 평균 최종 시력은 20/40~20/50을 보여 치료를 하지 않은 대조군의 20/70에 비해 유의한 시력 호전을 보였고, 2줄 이상의 시력 개선이 일어난 환자는 레이저군의 65%에서, 대조군의 37%에서 관찰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편 2줄 이상의 시력 상실을 나타낸 환자는 양 군 간에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심와 부위에 비허혈성 황반부종이 있는 경우는 해당되지 않고, 중심와의 망막 출혈이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제한이 있어 최근에는 거의 시행하지 않고 있다.
{{참고}}
{{참고}}
[[분류:망막]]
[[분류:망막]]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