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타노프로스텐 부노드: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457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4일 (금)
잔글
19번째 줄: 19번째 줄:
LBN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Latanoprost 0.005%와 비교한 연구로 28일간 LBN 0.024%를 1일 1회 점안한 환자군과 latanoprost 0.005%를 1일 1회 점안한 군을 비교하였을 때 LBN군에서 유의하게 더 큰 안압감소 효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LBN 사용 시 순응도 측면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LBN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Latanoprost 0.005%와 비교한 연구로 28일간 LBN 0.024%를 1일 1회 점안한 환자군과 latanoprost 0.005%를 1일 1회 점안한 군을 비교하였을 때 LBN군에서 유의하게 더 큰 안압감소 효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LBN 사용 시 순응도 측면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 CONSTELLATION (2016)<ref>Liu JHK et al. Efficacy of LBN 0.024% Compared with Timolol 0.5% in Lowering IOP over 24h. ''AJO''. 2016 Sep;169:249-257. [https://pubmed.ncbi.nlm.nih.gov/27457257/ 연결]</ref> ===
=== CONSTELLATION (2016)<ref>Liu JHK et al. Efficacy of LBN 0.024% Compared with Timolol 0.5% in Lowering IOP over 24h. ''AJO''. 2016 Sep;169:249-257. [https://pubmed.ncbi.nlm.nih.gov/27457257/ 연결]</ref> ===
25명의 OAG 또는 OHTN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간 및 야간 안압, 눈 고나
25명의 OAG 또는 OHTN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LBN 0.024% 1/d 와 [[티몰롤]] 0.5% 2/d 사이의 주간 및 야간 안압, 눈 관류압을 비교하였다. 두 약물 모두 동일한 정도로 주간 안압을 하강시켰으며, 야간 안압은 티몰롤의 경우 기준에서 변화가 없었으나, LBN은 기준보다 2.5 mmHg, 티몰롤보다 2.3 mmHg 낮았다. 또한 LBN 치료는 주간에 더 높은 앉은 자세, 누운 자세의 관류압을 보였고, 야간에도 티몰롤에 비해 더 큰 눈 관류압을 보였다.


=== APOLLO (2016)<ref>Weinreb RN et al. LBN 0.024% vs Timolol Maleate 0.5% in Subjects with OAG or OHTN : The APOLLO Study. ''Ophthalmology''. 2016 May;123(5):965-73. [https://pubmed.ncbi.nlm.nih.gov/26875002/ 연결]</ref> ===
=== APOLLO (2016)<ref>Weinreb RN et al. LBN 0.024% vs Timolol Maleate 0.5% in Subjects with OAG or OHTN : The APOLLO Study. ''Ophthalmology''. 2016 May;123(5):965-73. [https://pubmed.ncbi.nlm.nih.gov/26875002/ 연결]</ref> ===

둘러보기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