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CRAO와 동반)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단독 === | === 단독 === | ||
40% 이상에서 나타난다. [[섬모체 망막 동맥]]이 단독으로 폐쇄되면 이 동맥으로부터 혈액 공급을 받는 영역의 망막이 하얗게 혼탁된다. 시력 저하는 비교적 좋으며, 회복되면 90%에서 20/40 이상, 60%에서 20/20까지 시력을 되찾는다. 심지어 시신경 유두 황반 다발이 심하게 손상을 받았을 때에도 좋은 시력 예후를 보이는데, 이는 보존된 위, 아래 신경섬유층 다발이 황반부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보통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 40% 이상에서 나타난다. [[섬모체 망막 동맥]]이 단독으로 폐쇄되면 이 동맥으로부터 혈액 공급을 받는 영역의 망막이 하얗게 혼탁된다. 시력 저하는 비교적 좋으며, 회복되면 90%에서 20/40 이상, 60%에서 20/20까지 시력을 되찾는다. 심지어 시신경 유두 황반 다발이 심하게 손상을 받았을 때에도 좋은 시력 예후를 보이는데, 이는 보존된 위, 아래 신경섬유층 다발이 황반부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보통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 ||
=== | === CRVO와 동반 === | ||
약 40%에서 [[망막 중심정맥 폐쇄]] (CRAO) 가 동반될 수 있으며, 망막 중심 정맥 폐쇄 환자의 약 5%에서 섬모체망막 동맥 폐쇄가 발견된다. 대부분 비허혈성이어서 시력 회복도 좋으 편이며 [[홍채 혈관 신생]]과 [[신생혈관 녹내장]]이 발생하는 일은 드물다. 약 70%의 환자에서 20/40 이상의 시력 회복을 보인다. 보통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 약 40%에서 [[망막 중심정맥 폐쇄]] (CRAO) 가 동반될 수 있으며, 망막 중심 정맥 폐쇄 환자의 약 5%에서 섬모체망막 동맥 폐쇄가 발견된다. 대부분 비허혈성이어서 시력 회복도 좋으 편이며 [[홍채 혈관 신생]]과 [[신생혈관 녹내장]]이 발생하는 일은 드물다. 약 70%의 환자에서 20/40 이상의 시력 회복을 보인다. 보통 치료는 필요하지 않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