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CRVO와 동반) |
잔글 (→AION과 동반)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섬모체 망막 동맥 폐쇄와 망막 중심 정맥 폐쇄의 관련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망막 정맥계의 정수압이 증가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관류압이 낮은 섬모체 망막 동맥에서 울혈과 혈전 생성의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있으며, 동반된 시신경 유두의 부종이 섬모체망막 동맥의 단면적을 줄어들게 하여 혈류를 감소시킨다는 의견도 있다. | 섬모체 망막 동맥 폐쇄와 망막 중심 정맥 폐쇄의 관련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망막 정맥계의 정수압이 증가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관류압이 낮은 섬모체 망막 동맥에서 울혈과 혈전 생성의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있으며, 동반된 시신경 유두의 부종이 섬모체망막 동맥의 단면적을 줄어들게 하여 혈류를 감소시킨다는 의견도 있다. | ||
=== AION과 동반 === | === AION과 동반 (15%) === | ||
섬모체망막 동맥 폐쇄와 [[앞허혈 시신경병증]]은 모두 뒤섬모체 동맥의 부전이므로 함께 발생하기도 한다. 15%에서 앞허혈 시신경병증이 동반된다. 시력 예후는 시신경 손상으로 인해 20/400에서 광각무까지 매우 불량하다. 망막 혼탁과 함께 창백하거나 충혈된 시신경 유두의 부종이 관찰되면 [[거대세포 동맥염]]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적혈구 침강 속도와 측두동맥 생검을 시행한다. 진단이 되면 반대편 눈에서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 전신적인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여야 한다. | 섬모체망막 동맥 폐쇄와 [[앞허혈 시신경병증]]은 모두 뒤섬모체 동맥의 부전이므로 함께 발생하기도 한다. 15%에서 앞허혈 시신경병증이 동반된다. 시력 예후는 시신경 손상으로 인해 20/400에서 광각무까지 매우 불량하다. 망막 혼탁과 함께 창백하거나 충혈된 시신경 유두의 부종이 관찰되면 [[거대세포 동맥염]]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적혈구 침강 속도와 측두동맥 생검을 시행한다. 진단이 되면 반대편 눈에서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 전신적인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하여야 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