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원인) |
잔글 (→항GQ1b 항체)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남녀비는 2:1 정도로 <span style='color:blue;'>남자</span>가 많고 평균 발생 연령은 <span style='color:blue;'>43.6세</span>(14개월~80세)이며 어린이에서도 보고되었다. 대부분 호흡기나 위장관 바이러스 감염 후 증세가 나타나며, 약 72%에서 평균 바이러스 감염 10일 후 나타난다. | 남녀비는 2:1 정도로 <span style='color:blue;'>남자</span>가 많고 평균 발생 연령은 <span style='color:blue;'>43.6세</span>(14개월~80세)이며 어린이에서도 보고되었다. 대부분 호흡기나 위장관 바이러스 감염 후 증세가 나타나며, 약 72%에서 평균 바이러스 감염 10일 후 나타난다. | ||
== 원인 == | == 원인 == | ||
=== <span style='color:blue;'> | === <span style='color:blue;'>항-GQ1b 항체</span> === | ||
1992년 Chiba 등<ref>Chiba A et al. Serum IgG Ab to ganglioside GQ1b is a possible marker of MFS. ''Ann Neurol''. 1992 Jun;31(6):677-9. [https://pubmed.ncbi.nlm.nih.gov/1514781/ 연결]</ref>이 급성기 MFS 환자들의 혈청에서 항-GQ1b 항체를 확인하였고, 후속 연구를 통해서 항-GQ1b 항체가 Bickerstaff 뇌줄기뇌염 환자들에서도 발견되었다<ref>Yuki N et al. An immunologic abnormality common to Bickerstaff's brain stem encephalitis and Fisher's syndrome. ''J Neurol Sci''. 1993 Aug;118(1):83-7. [https://pubmed.ncbi.nlm.nih.gov/8229054/ 연결]</ref>. 일련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MFS와 그 아형들이 독립적인 질환이 아닌 항-GQ1b 항체에 의해 매개되는 동일 질환의 연속선에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Odaka 등<ref>Odaka M et al. Anti-GQ1b IgG antibody syndrome : clinical and immunological rang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1 Jan;70(1):50-5. [https://pubmed.ncbi.nlm.nih.gov/11118247/ 연결]</ref>은 MFS와 그 아형들을 항-GQ1b 항체 증후군으로 명명하였다. | |||
=== 선행 감염 === | === 선행 감염 === | ||
선행 감염은 주요 원인 인자로 알려져 있다. Goffette<ref>Goffette S et al. Acute isolated ophthalmoplegia a/w high levels of anti-GQ1b Ab. ''Eur Neurol''. 2000;43(2):120-1. [https://pubmed.ncbi.nlm.nih.gov/10686475/ 연결]</ref><ref>Goffette S et al. Clinical relevance of the determination of anti-GQ1b Ab in MFS and GBS. ''Acta Neurol Belg''. 1998 Dec;98(4):322-6. [https://pubmed.ncbi.nlm.nih.gov/9922819/ 연결]</ref>는 선행 감염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MFS를 감염 후 안운동마비 (post-infectious ophthalmoparesis) 라고 명명하기도 하였다. 또한 선행 감염 병력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급성 안운동 마비가 발생할 경우 밀러-피셔 증후군을 강력하게 의심할 수 있을 정도로 선행 감염 병력은 진단에 있어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 | 선행 감염은 주요 원인 인자로 알려져 있다. Goffette<ref>Goffette S et al. Acute isolated ophthalmoplegia a/w high levels of anti-GQ1b Ab. ''Eur Neurol''. 2000;43(2):120-1. [https://pubmed.ncbi.nlm.nih.gov/10686475/ 연결]</ref><ref>Goffette S et al. Clinical relevance of the determination of anti-GQ1b Ab in MFS and GBS. ''Acta Neurol Belg''. 1998 Dec;98(4):322-6. [https://pubmed.ncbi.nlm.nih.gov/9922819/ 연결]</ref>는 선행 감염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MFS를 감염 후 안운동마비 (post-infectious ophthalmoparesis) 라고 명명하기도 하였다. 또한 선행 감염 병력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급성 안운동 마비가 발생할 경우 밀러-피셔 증후군을 강력하게 의심할 수 있을 정도로 선행 감염 병력은 진단에 있어 매우 중요한 단서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