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광 반사: 두 판 사이의 차이

666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22일 (화)
잔글
잔글 (→‎변화)
 
9번째 줄: 9번째 줄:
=== 나이 ===
=== 나이 ===
영아와 노인은 젊은이에 비해 대광 반사가 떨어진다. 노화하면서 평소 동공 크기가 작아지고, 최고 수축 속도가 떨어지며, 최고 수축 속도에 이르는 시간 또한 증가한다. 긴 빛 자극 (3초) 을 주었을 때 동공이 작은 경우 대광 반사의 진폭이 감소한다. 나이에 따른 대광 반사의 변화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교감 신경의 긴장성 감소와 EW핵에 대한 중추성 억제의 감소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영아와 노인은 젊은이에 비해 대광 반사가 떨어진다. 노화하면서 평소 동공 크기가 작아지고, 최고 수축 속도가 떨어지며, 최고 수축 속도에 이르는 시간 또한 증가한다. 긴 빛 자극 (3초) 을 주었을 때 동공이 작은 경우 대광 반사의 진폭이 감소한다. 나이에 따른 대광 반사의 변화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교감 신경의 긴장성 감소와 EW핵에 대한 중추성 억제의 감소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 빛 밝기와 대광 반사 ===
=== 빛 밝기 ===
대광 반사는 막대 세포의 역치를 넘어서는 밝기의 빛에서부터 시작된다. 빛 밝기의 증가에 따라 대광 반사가 증가하다가 원뿔 세포의 역치를 넘어서는 빛에 노출되면 대광 반사의 속도, 진폭 등이 크게 증가한다. 빛이 극도로 밝아지면 더 이상 대광 반사의 속도, 진폭이 증가하지 않고 동공은 수 초 동안 강직성 축동 (spastic miosis) 을 보인다. 대광 반사의 잠복기는 어두운 빛에서는 0.5초 정도이며, 밝은 빛에서는 0.2초 정도로 감소한다.
대광 반사는 막대 세포의 역치를 넘어서는 밝기의 빛에서부터 시작된다. 빛 밝기의 증가에 따라 대광 반사가 증가하다가 원뿔 세포의 역치를 넘어서는 빛에 노출되면 대광 반사의 속도, 진폭 등이 크게 증가한다<ref>Lowenstein O et al. Scotopic and photopic thresholds of the pupillary light reflex in normal man. ''AJO''. 1959 Jul;48(1, Part 2):87-98. [https://pubmed.ncbi.nlm.nih.gov/13670267/ 연결]</ref>. 빛이 극도로 밝아지면 더 이상 대광 반사의 속도, 진폭이 증가하지 않고 동공은 수 초 동안 강직성 축동 (spastic miosis) 을 보인다. 대광 반사의 잠복기는 어두운 빛에서는 0.5초 정도이며, 밝은 빛에서는 0.2초 정도로 감소한다<ref>Cibis GW et al. Pupillomotor latent period. ''Vision Res''. 1977;17(6):737-8. [https://pubmed.ncbi.nlm.nih.gov/602036/ 연결]</ref>.
=== 빛 스펙트럼에 따른 민감도 ===
=== 빛 스펙트럼에 따른 민감도 ===
암순응 상태에서는 막대세포가 반응하여 파란색 계열의 빛에 민감하고, 명순응 상태에서는 원뿔세포가 반응하여 초록색 빛에 민감해지는 Punkinje 현상을 보인다. 멜라놉 함유 망막 신경절세포는 넓은 스펙트럼의 빛에 감수성을 보이며, 약 490nm 파장의 빛에 가장 민감하다.
암순응 상태에서는 막대세포가 반응하여 파란색 계열의 빛에 민감하고, 명순응 상태에서는 원뿔세포가 반응하여 초록색 빛에 민감해지는 Punkinje 현상을 보인다. 멜라놉 함유 망막 신경절세포는 넓은 스펙트럼의 빛에 감수성을 보이며, 약 490nm 파장의 빛에 가장 민감하다.
=== 빛 조사 시간 ===
빛 자극이 길어지면 짧은 빛 자극에 비해 어느 정도까지는 동공 수축이 증가하고, 잠복기가 감소하며 동공 수축이 유지된다. 그러나 빛 자극이 지속되면 명순응이 일어나면서 상대적으로 동공이 확장되는 동공 탈주 (pupillary escape) 가 일어난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