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상염색체 열성 유전)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 위축 (autosomal recessive optic atrophy; AROA)'''{{신경안과}} | '''상염색체 열성 시신경 위축 (autosomal recessive optic atrophy; AROA)'''{{신경안과}} | ||
== | == 유전 == | ||
한 세대에서 형제에 발생하고 그 전 세대나 그 다음 세대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므로 대부분 가족력이 없다. 부모의 근친 결혼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은 각각의 부모로부터 질병 유전자를 하나씩 물려 받았을 때 생긴다. 만일 하나의 정상 유전자와 하나의 질환 유전자를 받았다면 보인자가 되므로 대개 증상이 없다. 부모 모두 보인자일 경우 아이에게 질병이 유전될 확률은 25%, 정상 유전자만 물려받아 정상일 확률 역시 25%, 보인자가 될 확률은 50% 로 그 확률은 남녀 모두 동일하다. | 한 세대에서 형제에 발생하고 그 전 세대나 그 다음 세대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므로 대부분 가족력이 없다. 부모의 근친 결혼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은 각각의 부모로부터 질병 유전자를 하나씩 물려 받았을 때 생긴다. 만일 하나의 정상 유전자와 하나의 질환 유전자를 받았다면 보인자가 되므로 대개 증상이 없다. 부모 모두 보인자일 경우 아이에게 질병이 유전될 확률은 25%, 정상 유전자만 물려받아 정상일 확률 역시 25%, 보인자가 될 확률은 50% 로 그 확률은 남녀 모두 동일하다. | ||
== 임상 양상 == | == 임상 양상 == | ||
출생 당시부터 시신경 위축이 있고, 매우 일찍 증상이 나타나 대개 3~4세 이전에 시력 저하가 부모에 의해 발견된다. 시력 저하 정도가 매우 심하여 법정 실명 상태에 이르고, 눈떨림이 동반되기도 한다. 시야 검사를 할 수 있는 경우 중심 부근 암점 (paracentral scotoma) 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도의 결손이 보인다. 안저 검사에서 심한 시신경 위축과 더불어 시신경 유두 함몰이 깊어져 있을 수 있다. 시력 저하가 계속 진행하지는 않는다. | 출생 당시부터 시신경 위축이 있고, 매우 일찍 증상이 나타나 대개 3~4세 이전에 시력 저하가 부모에 의해 발견된다. 시력 저하 정도가 매우 심하여 법정 실명 상태에 이르고, 눈떨림이 동반되기도 한다. 시야 검사를 할 수 있는 경우 중심 부근 암점 (paracentral scotoma) 을 포함하여 다양한 정도의 결손이 보인다. 안저 검사에서 심한 시신경 위축과 더불어 시신경 유두 함몰이 깊어져 있을 수 있다. 시력 저하가 계속 진행하지는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