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연구 == | == 연구 == | ||
=== KRONUS (2015)<ref>Araie M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LBN Ophthalmic Solution, 0.024% in Lowering IOP over 24h in Healthy Japanese Subjects. ''Adv Ther''. 2015 Nov;32(11):1128-39. [https://pubmed.ncbi.nlm.nih.gov/26563323/ 연결]</ref> === | === KRONUS (2015)<ref>Araie M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LBN Ophthalmic Solution, 0.024% in Lowering IOP over 24h in Healthy Japanese Subjects. ''Adv Ther''. 2015 Nov;32(11):1128-39. [https://pubmed.ncbi.nlm.nih.gov/26563323/ 연결]</ref> === | ||
정상 안압의 정상 일본 자원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연령은 26.8±6.3세 였고, | 정상 안압의 정상 일본 자원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연령은 26.8±6.3세 였고, 골드만 압평 안압을 앉은 자세에서 자정, 오전 2, 4, 8, 10, 오후 12, 4, 8, 10시에 측정하였다.. 연구안의 평균 안압은 13.6±1.3 mmHg 였으며, LBN 0.024% 1/d 로 14일간 점안하여 모든 시간대에서 안압 하강을 보였으며 (P<0.001), 24시간 평균 3.6±0.8 mmHg (27%) 의 안압 하강 효과를 보였다. 최고 안압 하강은 오전 8시 (점안 12시간 후), 4.2±1.8 mmHg (30%) 였으며, 최저 안압 하강은 오후 8시 (점안 24시간 후), 2.8±2.2 mmHg (20%) 였다. 경미한 점상 각막염과 안구 충혈이 가장 흔한 부작용이었다. | ||
=== VOYAGER (2015)<ref>Weinreb RN et al; VOYAGER study group. A randomised, controlled comparison of LBN and latanoprost 0.005% in the treatment of OHTN and OAG: the VOYAGER study. ''BJO''. 2015 Jun;99(6):738-45. [https://pubmed.ncbi.nlm.nih.gov/25488946/ 연결]</ref> === | === VOYAGER (2015)<ref>Weinreb RN et al; VOYAGER study group. A randomised, controlled comparison of LBN and latanoprost 0.005% in the treatment of OHTN and OAG: the VOYAGER study. ''BJO''. 2015 Jun;99(6):738-45. [https://pubmed.ncbi.nlm.nih.gov/25488946/ 연결]</re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