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 VOYAGER (2015)<ref>Weinreb RN et al; VOYAGER study group. A randomised, controlled comparison of LBN and latanoprost 0.005% in the treatment of OHTN and OAG: the VOYAGER study. ''BJO''. 2015 Jun;99(6):738-45. [https://pubmed.ncbi.nlm.nih.gov/25488946/ 연결]</ref> === | === VOYAGER (2015)<ref>Weinreb RN et al; VOYAGER study group. A randomised, controlled comparison of LBN and latanoprost 0.005% in the treatment of OHTN and OAG: the VOYAGER study. ''BJO''. 2015 Jun;99(6):738-45. [https://pubmed.ncbi.nlm.nih.gov/25488946/ 연결]</ref> === | ||
LBN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 LBN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라타노프로스트]] 0.005%와 비교한 연구로, 대상자들은 점안약을 연구안에 매 저녁 한 방울씩 28일간 점안하였고, 5번 내원하였다. 413명의 대상자들은 LBN 0.006% 82명, 0.012% 85명, 0.024% 83명, 0.040% 81명, [[라타노프로스트]] 82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으며, 396명이 최종적으로 연구를 끝냈다. | ||
LBN의 효과는 농도에 비례하였으며, 0.024~0.040% 에서는 비슷하였다. LBN 0.024%는 7일 (-8.27 mmHg, P=0.033), 14일 (-8.86, P=0.015), 28일 (-9.00, P=0.005) 모두에서 라타노프로스트 (-7.29, -7.72, -7.77 mmHg) 보다 의미있게 더 큰 안압 하강 효과를 보였다. 대부분 경미하고 일시적이었던 부작용은, 라타노프로스트보다 LBN 0.024%에서 많았다. | |||
=== CONSTELLATION (2016)<ref>Liu JHK et al. Efficacy of LBN 0.024% Compared with Timolol 0.5% in Lowering IOP over 24h. ''AJO''. 2016 Sep;169:249-257. [https://pubmed.ncbi.nlm.nih.gov/27457257/ 연결]</ref> === | === CONSTELLATION (2016)<ref>Liu JHK et al. Efficacy of LBN 0.024% Compared with Timolol 0.5% in Lowering IOP over 24h. ''AJO''. 2016 Sep;169:249-257. [https://pubmed.ncbi.nlm.nih.gov/27457257/ 연결]</ref> === | ||
25명의 OAG 또는 OHTN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LBN 0.024% 1/d 와 [[티몰롤]] 0.5% 2/d 사이의 주간 및 야간 안압, 눈 관류압을 비교하였다. 두 약물 모두 동일한 정도로 주간 안압을 하강시켰으며, 야간 안압은 티몰롤의 경우 기준에서 변화가 없었으나, LBN은 기준보다 2.5 mmHg, 티몰롤보다 2.3 mmHg 낮았다. 또한 LBN 치료는 주간에 더 높은 앉은 자세, 누운 자세의 관류압을 보였고, 야간에도 티몰롤에 비해 더 큰 눈 관류압을 보였다. | 25명의 OAG 또는 OHTN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LBN 0.024% 1/d 와 [[티몰롤]] 0.5% 2/d 사이의 주간 및 야간 안압, 눈 관류압을 비교하였다. 두 약물 모두 동일한 정도로 주간 안압을 하강시켰으며, 야간 안압은 티몰롤의 경우 기준에서 변화가 없었으나, LBN은 기준보다 2.5 mmHg, 티몰롤보다 2.3 mmHg 낮았다. 또한 LBN 치료는 주간에 더 높은 앉은 자세, 누운 자세의 관류압을 보였고, 야간에도 티몰롤에 비해 더 큰 눈 관류압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