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타노프로스텐 부노드: 두 판 사이의 차이

282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3월 25일 (금)
잔글
잔글 (→‎종류)
잔글 (→‎기전)
10번째 줄: 10번째 줄:
== 기전 ==
== 기전 ==
안구 내 ubiquitous esterase 에 노출되었을 때, Labanoprost acid과 산화 질소 작용 부분인 Butanediol mononitrate (BDMN) 로 분해된다. 이 과정에서 활성화된 NO donor는 섬유주의 세포부피 감소에 관여하는 칼슘 활성화 칼륨 채널 또는 BKCa 이온 채널 (Large  conductance calcium activated potassium channels) 을 활성화시켜 섬유주를 이완시키고 방수 유출을 증가시킨다.
안구 내 ubiquitous esterase 에 노출되었을 때, Labanoprost acid과 산화 질소 작용 부분인 Butanediol mononitrate (BDMN) 로 분해된다. 이 과정에서 활성화된 NO donor는 섬유주의 세포부피 감소에 관여하는 칼슘 활성화 칼륨 채널 또는 BKCa 이온 채널 (Large  conductance calcium activated potassium channels) 을 활성화시켜 섬유주를 이완시키고 방수 유출을 증가시킨다.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
|-
|비줄타 점안액 0.024%||Latanoprostene Bunod 0.24mg/ml||2.5, 5 ml||바슈 헬스 코리아||14,096원/2.5ml/병, 21,143원/5ml/병
|}
{{참고}}
[[분류:녹내장]]
== 부작용 ==
== 부작용 ==
1년동안 LBN을 사용하면서 발생한 부작용은 다음과 같았고<ref name=r6>Kawase K et al; JUPITER Study Group. LT Safety and Efficacy of LBN 0.024% in Japanese Subjects w OAG or OHTN : The JUPITER Study. ''Adv Ther''. 2016 Sep;33(9):1612-27. [https://pubmed.ncbi.nlm.nih.gov/27457469/ 연결]</ref>,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의 부작용과 비슷하였다.
1년동안 LBN을 사용하면서 발생한 부작용은 다음과 같았고<ref name=r6>Kawase K et al; JUPITER Study Group. LT Safety and Efficacy of LBN 0.024% in Japanese Subjects w OAG or OHTN : The JUPITER Study. ''Adv Ther''. 2016 Sep;33(9):1612-27. [https://pubmed.ncbi.nlm.nih.gov/27457469/ 연결]</ref>,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의 부작용과 비슷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