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효과)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α<sub>1</sub> 수용체 작용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수용체에 대한 반응이 떨어지고 하향 조절 (downregulation) 되어 내성이 발생하고 충혈 감소 효과가 줄어든다. 반면에 정확한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α<sub>2</sub> 수용체 작용제는 장기간 사용해도 내성이 관찰되지 않는다. 이는 수십년 녹내장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0.15% 농도의 [[브리모니딘]]의 안압 하강 효과가 계속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α<sub>1</sub> 수용체 작용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수용체에 대한 반응이 떨어지고 하향 조절 (downregulation) 되어 내성이 발생하고 충혈 감소 효과가 줄어든다. 반면에 정확한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α<sub>2</sub> 수용체 작용제는 장기간 사용해도 내성이 관찰되지 않는다. 이는 수십년 녹내장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0.15% 농도의 [[브리모니딘]]의 안압 하강 효과가 계속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
== 효과 == | == 효과 == | ||
저농도 (0.025%) 브리모니딘의 임상 | 저농도 (0.025%) 브리모니딘의 임상 연구<ref>Ackerman SL et al. Low-dose brimonidine for relief of ocular redness : integrated analysis of 4 clinical trials. ''Clin Exp Optom''. 2019 Mar;102(2):131-139. [https://pubmed.ncbi.nlm.nih.gov/30525235/ 연결]</ref>는 무작위 배정, 이중 맹검, 대조약 연구로 117명의 [[결막 충혈]] 환자에게 하루 4회, 4주간 시행되었다. 점안 후 1분만에 충혈이 감소되었으며 8시간 동안 그 효과가 유지되었고, 점안 후 15일과 29일의 약 효과가 점안 첫날과 동일하게 유지되어 내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 ||
또 다른 연구에서는 알러지 결막염과 비염이 있는 환자 60명에게 항원 자극을 주어 알러지를 일부러 유발한 후 15분 뒤 무작위 배정으로 3개의 약제를 점안하였다. 그 중 브리모니딘 0.025% 이 알러지에 의한 충혈을 감소시켜 충혈의 예방 효과가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또 다른 연구에서는 알러지 결막염과 비염이 있는 환자 60명에게 항원 자극을 주어 알러지를 일부러 유발한 후 15분 뒤 무작위 배정으로 3개의 약제를 점안하였다. 그 중 브리모니딘 0.025% 이 알러지에 의한 충혈을 감소시켜 충혈의 예방 효과가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
== 안정성 == | == 안정성 == | ||
총 4개의 연구에서 635명이 참여하였다. 시력 감소 (치료군 4.0%, 대조군 4.3%), 결막 충혈 (2.6%, 2.9%), 건조감 (1.2%, 1.0%) 이 가장 흔한 부작용이었으며 그 외는 1% 미만이었다. 전신 피로감과 졸림은 단 1명에서만 관찰되었으며, 그 외 혈압과 맥박에는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다. 녹내장 약제로 사용되는 농도인 0.15% 의 경우 22.0%의 많은 알러지가 보고되었으나, 저농도에서는 알러지 반응이 없었다. 또한 4주간 지속적으로 사용해도 안압에 변화는 없었다. | 총 4개의 연구에서 635명이 참여하였다. 시력 감소 (치료군 4.0%, 대조군 4.3%), 결막 충혈 (2.6%, 2.9%), 건조감 (1.2%, 1.0%) 이 가장 흔한 부작용이었으며 그 외는 1% 미만이었다. 전신 피로감과 졸림은 단 1명에서만 관찰되었으며, 그 외 혈압과 맥박에는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다. 녹내장 약제로 사용되는 농도인 0.15% 의 경우 22.0%의 많은 알러지가 보고되었으나, 저농도에서는 알러지 반응이 없었다. 또한 4주간 지속적으로 사용해도 안압에 변화는 없었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