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증상) |
잔글 (→임상 소견)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보통 일광에 노출되고 1~4시간 후에 나타나며 시력저하, 변시증, 소시증,중심암점 혹은 1~7˚의 중심부근 암점, 색시증 (chromatopsia, 특히 적색시 erythropsia), 눈부심, 잔상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손상 후 시력은 0.1~0.5까지 감소될 수 있으나 정상인 경우 또한 존재하며, 대부분 6개월 내에 0.5~1.0 수준으로 회복된다. Kerr 등63은 20/200 이하로 급성 시력 감퇴를 보인 환자의 시력 예후가 나쁘다고 보고했다. 시력 호전에도 불구하고 변시증이나 중심 혹은 중심주변 암점은 남을 수 있다. 시력 감퇴는 보통 양측으로 오지만, 흔히 우세안에서 심한 경향을 보인다. | 보통 일광에 노출되고 1~4시간 후에 나타나며 시력저하, 변시증, 소시증,중심암점 혹은 1~7˚의 중심부근 암점, 색시증 (chromatopsia, 특히 적색시 erythropsia), 눈부심, 잔상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다. 손상 후 시력은 0.1~0.5까지 감소될 수 있으나 정상인 경우 또한 존재하며, 대부분 6개월 내에 0.5~1.0 수준으로 회복된다. Kerr 등63은 20/200 이하로 급성 시력 감퇴를 보인 환자의 시력 예후가 나쁘다고 보고했다. 시력 호전에도 불구하고 변시증이나 중심 혹은 중심주변 암점은 남을 수 있다. 시력 감퇴는 보통 양측으로 오지만, 흔히 우세안에서 심한 경향을 보인다. | ||
== 검사 및 진단 == | == 검사 및 진단 == | ||
* FA : 보통 정상이며 경한 황반하 망막 색소상피 결손 소견이 보일 수 있다. 형광의 누출은 초기에 나타날 수 있으나 드물다. 유일한 소견으로 수일 혹은 수주 후에 망막 색소상피 변화에 의한 작은 과형광 반점들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황반와의 엽황소에 가려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 * FA : 보통 정상이며 경한 황반하 망막 색소상피 결손 소견이 보일 수 있다. 형광의 누출은 초기에 나타날 수 있으나 드물다. 유일한 소견으로 수일 혹은 수주 후에 망막 색소상피 변화에 의한 작은 과형광 반점들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황반와의 엽황소에 가려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