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공 마취: 두 판 사이의 차이

1,30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7일 (목)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침공 마취 (pinpoint anesthesia)''' {{참고}})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침공 마취 (pinpoint anesthesia)'''
'''침공 마취 (pinpoint anesthesia)''' 는 구후 및 안구 주위 마취의 대체 방법으로 Fukasaku<ref>Fukasaku H et al. Pinpoint anesthesia : a new approach to local ocular anesthesia. ''JCRS''. 1994 Jul;20(4):468-71. [https://pubmed.ncbi.nlm.nih.gov/7932140/ 연결]</ref>가 처음으로 제안하였다. 국내에서는 이 등<ref>이규일 등, 침공 마취 시행 시 환자의 특성이 마취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 ''JKOS'' 1998;39(9):2043-204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3152 연결]</ref>이 백내장 수술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주장하였고 점안 마취제를 같이 사용할 때 더 효과적으로 통증을 억제할 수 있었다고 발표하였다.
== 장점 ==
마취 효과가 빠르고 결막, 공막, 각막 홍채, 모양체의 감각 억제 및 지속 시간은 양호하며 마취 약제가 테논낭하에 국한되어 부작용이 적다.
== 단점 ==
구후 마취, 안구 주위 마취에 비해 안구 운동 억제의 효과는 적다.
== 부작용 ==
* 결막하 출혈
* 일시적 복시
* 안검하수
* 술후 초기 안압 상승<ref>이재범 등, 새로운 국소 마취와 구후 마취 시행 시 수술 전 안압 상승에 관한 비교, ''JKOS'' 1995;36(9):1541-154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2164 연결]</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