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포 변성: 두 판 사이의 차이

252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4월 17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 그물 모양 (reticular) ===
=== 그물 모양 (reticular) ===
망막 표층인 신경섬유층에 생기는 경우를 말하며, 거의 모든 경우에서 전형적 낭포 변성 뒤에서 발견된다. 즉 망막 톱니둘레 주변에 발생하는 전형적 낭포 변성이 보이면, 그 뒤쪽 망막에 그물 모양 낭포 변성이 이어서 발견되는 것이다. 병변 내 망막 혈관에 의해 선형의 형태인 그물 모양을 이루고 있다. 성인의 16%에서 발견되며, 41%가 양안성이고, 망막의 하이측에서 주로 발견된다.
망막 표층인 신경섬유층에 생기는 경우를 말하며, 거의 모든 경우에서 전형적 낭포 변성 뒤에서 발견된다. 즉 망막 톱니둘레 주변에 발생하는 전형적 낭포 변성이 보이면, 그 뒤쪽 망막에 그물 모양 낭포 변성이 이어서 발견되는 것이다. 병변 내 망막 혈관에 의해 선형의 형태인 그물 모양을 이루고 있다. 성인의 16%에서 발견되며, 41%가 양안성이고, 망막의 하이측에서 주로 발견된다.
== 임상 양상 ==
일반적으로 완전한 벽으로 둘러싸인 낭과 달리 망막 중간층이 분리되어 돔 (dome) 형태의 공간들이 생기고, 분리된 두 층을 이어주는 기둥 (pillar) 같은 [[뮐러세포]]가 존재한다.
== 예후 ==
== 예후 ==
내층, 외층 망막 사이의 기둥 부위들이 소실되고, 여러 낭포들이 합쳐져서 크게 망막이 분리된 영역인 [[퇴행성 망막 층간분리]]를 일으킨다. 임상적으로 망막 층간분리의 원인이 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낭포 변성 자체는 시력 악화를 야기하는 심각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내층, 외층 망막 사이의 기둥 부위들이 소실되고, 여러 낭포들이 합쳐져서 크게 망막이 분리된 영역인 [[퇴행성 망막 층간분리]]를 일으킨다. 임상적으로 망막 층간분리의 원인이 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낭포 변성 자체는 시력 악화를 야기하는 심각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참고}}
{{참고}}
[[분류:망막]]
[[분류:망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