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전형적 (typical)) |
잔글 (→전형적 (typical))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조직학적으로 [[외망상층]]과 [[내핵층]] 사이에 낭포성 공간이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망막 톱니둘레 돌기 기저에서 시작하여 망막 톱니둘레를 따라서 (circumferential) 그리고 후극부 쪽으로 이어진다. 망막 톱니둘레에서 2~3 mm 뒤로 이어지며, 적도부를 넘어서는 경우는 드물다. 포물선면 (parabolid), 사다리꼴, 부채꼴, 곤봉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 망막 내층의 손상으로 망막에 작은 구멍이나 넓은 망막 함요가 생기기도 한다. | 조직학적으로 [[외망상층]]과 [[내핵층]] 사이에 낭포성 공간이 생기는 경우를 말한다. 망막 톱니둘레 돌기 기저에서 시작하여 망막 톱니둘레를 따라서 (circumferential) 그리고 후극부 쪽으로 이어진다. 망막 톱니둘레에서 2~3 mm 뒤로 이어지며, 적도부를 넘어서는 경우는 드물다. 포물선면 (parabolid), 사다리꼴, 부채꼴, 곤봉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띤다. 망막 내층의 손상으로 망막에 작은 구멍이나 넓은 망막 함요가 생기기도 한다. | ||
격자 변성, 포석 변성, 섬모체 평면부 낭 등과 같은 기타 [[주변부 망막 변성]]들과는 독립적으로 나타나며, 변성부 앞의 유리체 변화와도 관계가 없어 [[후유리체 박리]]와 낭포 변성의 발생과는 상관 관계가 없다. 전형적 낭포 변성은 망막의 상이측 주변부에 저명하다. | 격자 변성, 포석 변성, 섬모체 평면부 낭 등과 같은 기타 [[주변부 망막 변성]]들과는 독립적으로 나타나며, 변성부 앞의 유리체 변화와도 관계가 없어 [[후유리체 박리]]와 낭포 변성의 발생과는 상관 관계가 없다. 전형적 낭포 변성은 망막의 상이측 주변부에 저명하다<ref>Foos RY et al. Reticular cystoid degeneration of the peripheral retina. ''AJO''. 1970 Mar;69(3):392-403. [https://pubmed.ncbi.nlm.nih.gov/5418858/ 연결]</ref>. | ||
=== 그물 모양 (reticular) === | === 그물 모양 (reticula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