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증상)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등쪽 중뇌 증후군 (dorsal midbrain syndrome) 은 Parinaud 증후군, Koeber-Salsus-Elschig 증후군, pretectal syndrome, Slivian aqueduct syndrome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 '''등쪽 중뇌 증후군 (dorsal midbrain syndrome)'''{{신경안과}} 은 Parinaud 증후군, Koeber-Salsus-Elschig 증후군, pretectal syndrome, Slivian aqueduct syndrome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 ||
== 원인 == | == 원인 == | ||
카할 간질핵으로부터의 축삭 투사와 수직 주시 및 눈꺼풀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뒤맞교차와 그 핵의 병변이 원인이다. 송과선 부위의 종양, 중뇌의 경색이 흔한 원인이다. | 카할 간질핵으로부터의 축삭 투사와 수직 주시 및 눈꺼풀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뒤맞교차와 그 핵의 병변이 원인이다. 송과선 부위의 종양, 중뇌의 경색이 흔한 원인이다.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 눈모음 마비 또는 연축 : 연축 때는 수평 신속운동 중에 외전되는 눈이 반대쪽의 내전되는 눈에 비해 느릴 수 있다. 그래서 가성 외향신경 마비라 하며, 과도한 눈모음의 긴장도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 * 눈모음 마비 또는 연축 : 연축 때는 수평 신속운동 중에 외전되는 눈이 반대쪽의 내전되는 눈에 비해 느릴 수 있다. 그래서 가성 외향신경 마비라 하며, 과도한 눈모음의 긴장도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 ||
* 눈모음-후퇴 눈떨림 : 상향 신속운동을 하려고 할 때 작용근인 상전근의 작용에 장애가 있고 길항근인 하전근의 억제에도 장애가 생겨 일어난다. 즉 상향 신속운동 때 모든 외안근의 비정상적인 수축과 안구 후퇴 눈떨림이 생긴다. 눈모음 후퇴는 내직근의 작용이 커서 오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신속운동 계통의 장애라기보다 폭주의 장애라고 주장하는 연구자도 있다. | * 눈모음-후퇴 눈떨림 : 상향 신속운동을 하려고 할 때 작용근인 상전근의 작용에 장애가 있고 길항근인 하전근의 억제에도 장애가 생겨 일어난다. 즉 상향 신속운동 때 모든 외안근의 비정상적인 수축과 안구 후퇴 눈떨림이 생긴다. 눈모음 후퇴는 내직근의 작용이 커서 오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신속운동 계통의 장애라기보다 폭주의 장애라고 주장하는 연구자도 있다. | ||
{{참고}} | |||
[[분류:신경안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