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미파이: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6일 (월)
잔글
잔글 (→‎효과)
잔글 (→‎기전)
 
1번째 줄: 1번째 줄:
'''루미파이 (Lumify®) 점안액'''<ref>전연숙, Eyefit 56호, Nov. 2021, p32~34</ref> 은 FDA 승인된 [[브리모니딘]] 0.025% 약제로 1분 안에 빠른 효과 발현과 8시간의 지속력을 가지며, 정맥의 선택적인 수축 작용으로 내성과 충혈 재발을 감소시킨 흥미로운 약제이다.
'''루미파이 (Lumify®) 점안액'''<ref>전연숙, Eyefit 56호, Nov. 2021, p32~34</ref> 은 FDA 승인된 [[브리모니딘]] 0.025% 약제로 1분 안에 빠른 효과 발현과 8시간의 지속력을 가지며, 정맥의 선택적인 수축 작용으로 내성과 충혈 재발을 감소시킨 흥미로운 약제이다.
== 기전 ==
== 기전 ==
1세대 [[결막 충혈|충혈]] 감소제로 알려진 테트라하이드로졸린, 나파졸린 등은 주로 α<sub>1</sub> 작용제로 동맥과 정맥을 동시에 수축히키나, [[브리모니딘]]은 선택적인 α<sub>2</sub> 작용제로 정맥 수축을 유발한다. 결막의 정맥은 동맥보다 더 많은 수가 더 표면에 위치하므로 정맥에 작용하는 브리모니딘이 충혈 감소에 더 효과적이다.
1세대 [[결막 충혈|충혈]] 감소제로 알려진 테트라하이드로졸린, 나파졸린 등은 주로 α<sub>1</sub> 작용제로 동맥과 정맥을 동시에 수축시키나, [[브리모니딘]]은 선택적인 α<sub>2</sub> 작용제로 정맥 수축을 유발한다. 결막의 정맥은 동맥보다 더 많은 수가 더 표면에 위치하므로 정맥에 작용하는 브리모니딘이 충혈 감소에 더 효과적이다.
 
== 내성 ==
== 내성 ==
α<sub>1</sub> 수용체 작용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수용체에 대한 반응이 떨어지고 하향 조절 (downregulation) 되어 내성이 발생하고 충혈 감소 효과가 줄어든다. 반면에 정확한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α<sub>2</sub> 수용체 작용제는 장기간 사용해도 내성이 관찰되지 않는다. 이는 수십년 녹내장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0.15% 농도의 [[브리모니딘]]의 안압 하강 효과가 계속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α<sub>1</sub> 수용체 작용제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수용체에 대한 반응이 떨어지고 하향 조절 (downregulation) 되어 내성이 발생하고 충혈 감소 효과가 줄어든다. 반면에 정확한 기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α<sub>2</sub> 수용체 작용제는 장기간 사용해도 내성이 관찰되지 않는다. 이는 수십년 녹내장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0.15% 농도의 [[브리모니딘]]의 안압 하강 효과가 계속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