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카스텐바움 수술 (Kastenbaum operation)''' | |||
== 역사 == | == 역사 == | ||
1953년 Kastenbaum 등은 수평 얼굴 돌림 방향으로 4개의 수평 직근을 각각 후전 및 절제하여 (5/5/5/5mm) 눈떨림 정지점을 제일 눈위치에 옮겨서 눈떨림을 억제하는 데 최초로 성공하였다. Anderson 등은 1953년에 같은 원리이나 느린 단계와 관련된 2개의 수평 직근의 항진된 근긴장도가 병인과 관계가 있으며 이 두 근육을 약화하여 눈떨림을 억제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br /> 반면 1954년 Goto는 근전위도를 이용하여 빨느 단계와 관련된 직근의 기능 저하가 병인이며, 이 근육의 절제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Parks 등은 1973년에 수평 얼굴 돌림과 수직 얼굴 돌림에서 현대의 수술량 개념 (수평 5/6/7/8, 수직 4/4/4/4mm) 을 완성하였다. 최근에는 수평 얼굴 돌림의 정도가 30˚를 넘을 경우 Parks의 공식보다 증량하여 수술하고 있다. | 1953년 Kastenbaum 등은 수평 얼굴 돌림 방향으로 4개의 수평 직근을 각각 후전 및 절제하여 (5/5/5/5mm) 눈떨림 정지점을 제일 눈위치에 옮겨서 눈떨림을 억제하는 데 최초로 성공하였다. Anderson 등은 1953년에 같은 원리이나 느린 단계와 관련된 2개의 수평 직근의 항진된 근긴장도가 병인과 관계가 있으며 이 두 근육을 약화하여 눈떨림을 억제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br /> 반면 1954년 Goto는 근전위도를 이용하여 빨느 단계와 관련된 직근의 기능 저하가 병인이며, 이 근육의 절제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Parks 등은 1973년에 수평 얼굴 돌림과 수직 얼굴 돌림에서 현대의 수술량 개념 (수평 5/6/7/8, 수직 4/4/4/4mm) 을 완성하였다. 최근에는 수평 얼굴 돌림의 정도가 30˚를 넘을 경우 Parks의 공식보다 증량하여 수술하고 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 원리 == | == 원리 == | ||
네 개의 직근을 수술하여 눈을 얼굴 돌림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지점이 제일 눈위치에 위치하도록 만들어 얼굴 돌림이 없어지고 시력도 향상되게 하는 것이다. [[주기 교대 눈떨림]]의 경우 눈떨림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므로 수술 전에 반드시 감별하여야 한다. | 네 개의 직근을 수술하여 눈을 얼굴 돌림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지점이 제일 눈위치에 위치하도록 만들어 얼굴 돌림이 없어지고 시력도 향상되게 하는 것이다. [[주기 교대 눈떨림]]의 경우 눈떨림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므로 수술 전에 반드시 감별하여야 한다. | ||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