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텐바움 수술: 두 판 사이의 차이

1,294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6월 12일 (일)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카스텐바움 수술 (Kastenbaum operation)'''
'''카스텐바움 수술 (Kastenbaum operation)'''{{신경안과}}
== 역사 ==
== 역사 ==
1953년 Kastenbaum 등은 수평 얼굴 돌림 방향으로 4개의 수평 직근을 각각 후전 및 절제하여 (5/5/5/5mm) 눈떨림 정지점을 제일 눈위치에 옮겨서 눈떨림을 억제하는 데 최초로 성공하였다. Anderson 등은 1953년에 같은 원리이나 느린 단계와 관련된 2개의 수평 직근의 항진된 근긴장도가 병인과 관계가 있으며 이 두 근육을 약화하여 눈떨림을 억제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br />&nbsp;&nbsp;반면 1954년 Goto는 근전위도를 이용하여 빨느 단계와 관련된 직근의 기능 저하가 병인이며, 이 근육의 절제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Parks 등은 1973년에 수평 얼굴 돌림과 수직 얼굴 돌림에서 현대의 수술량 개념 (수평 5/6/7/8, 수직 4/4/4/4mm) 을 완성하였다. 최근에는 수평 얼굴 돌림의 정도가 30˚를 넘을 경우 Parks의 공식보다 증량하여 수술하고 있다.
1953년 Kastenbaum 등은 수평 얼굴 돌림 방향으로 4개의 수평 직근을 각각 후전 및 절제하여 (5/5/5/5mm) 눈떨림 정지점을 제일 눈위치에 옮겨서 눈떨림을 억제하는 데 최초로 성공하였다. Anderson 등은 1953년에 같은 원리이나 느린 단계와 관련된 2개의 수평 직근의 항진된 근긴장도가 병인과 관계가 있으며 이 두 근육을 약화하여 눈떨림을 억제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반면 1954년 Goto는 근전위도를 이용하여 빨느 단계와 관련된 직근의 기능 저하가 병인이며, 이 근육의 절제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Parks 등은 1973년에 수평 얼굴 돌림과 수직 얼굴 돌림에서 현대의 수술량 개념 (수평 5/6/7/8, 수직 4/4/4/4mm) 을 완성하였다. 최근에는 수평 얼굴 돌림의 정도가 30˚를 넘을 경우 Parks의 공식보다 증량하여 수술하고 있다.
== 목적 ==
== 목적 ==
눈떨림의 정지점을 제일 눈위치로 옮겨서 고개를 바로 잡아주면 얼굴 돌림에 의한 목근육 당김과 두통 등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다. 제일 눈위치에서 눈떨림의 세기를 약하게 하여 시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때 항상 얼굴 돌림 방향으로 정지점을 옮긴다. 수술은 20˚ 이상의 얼굴 돌림이 있을 경우 주로 시행하지만 그렇지 않아도 환자의 장승과 요구에 따라 시행할 수 있다.
눈떨림의 정지점을 제일 눈위치로 옮겨서 고개를 바로 잡아주면 얼굴 돌림에 의한 목근육 당김과 두통 등의 피로를 해소할 수 있다. 제일 눈위치에서 눈떨림의 세기를 약하게 하여 시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때 항상 얼굴 돌림 방향으로 정지점을 옮긴다. 수술은 20˚ 이상의 얼굴 돌림이 있을 경우 주로 시행하지만 그렇지 않아도 환자의 장승과 요구에 따라 시행할 수 있다.
== 원리 ==
== 원리 ==
네 개의 직근을 수술하여 눈을 얼굴 돌림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지점이 제일 눈위치에 위치하도록 만들어 얼굴 돌림이 없어지고 시력도 향상되게 하는 것이다. [[주기 교대 눈떨림]]의 경우 눈떨림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므로 수술 전에 반드시 감별하여야 한다.
네 개의 직근을 수술하여 눈을 얼굴 돌림 방향으로 이동시켜 정지점이 제일 눈위치에 위치하도록 만들어 얼굴 돌림이 없어지고 시력도 향상되게 하는 것이다. [[주기 교대 눈떨림]]의 경우 눈떨림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므로 수술 전에 반드시 감별하여야 한다.
== 수술 방법 ==
Parks의 고전적인 수술 방법은 얼굴 돌림 방향으로 정지점을 옮기며 30˚ 이내의 얼굴 돌림이 있는 경우에 시행한다. 수술량은 5/6/7/8mm 이다. 수술ㄹ량은 5+8=6+7이 되도록 두 눈의 수술량의 합이 같아야 하며 항상 외직근의 수술량이 내직근보다 많아야 한다23. 즉, 얼굴 돌림을 했을 때 내전된 눈에서는 내직근 후전술 5mm, 외직근 절제술 8mm를 시행하며, 반대눈에서는 내직근 절제술 6mm, 외직근 후전술 7mm를 시행한다.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30˚의 얼굴 돌림이 있는 오른쪽 된눈떨림 환자의 경우 오른쪽으로 눈을 옮기기 위해서 오른눈 외직근 절제술 (8mm) 과 내직근 후전술 (5mm), 왼눈 내직근 절제술 (6mm) 과 외직근 후전술 (7mm) 을 시행한다. 30˚ 이상의 얼굴 돌림이 있는 경우에는 증량 수술을 시행하는데 수술량은 술자마다 다르며 아래의 표를 참고하면 된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오른쪽 얼굴 돌림이 있는 눈떨림 환자의 카스텐바움 수술량
|-
!rowspan=2||
|colspan=2|오른눈
|colspan=2|왼눈
|-
!외직근 절제술||내직근 후전술||내직근 절제술||외직근 후전술
|}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