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잎 추출물: 두 판 사이의 차이

크기가 바뀐 것이 없음 ,  2022년 6월 20일 (월)
잔글
잔글 (→‎효과)
잔글 (→‎구성)
1번째 줄: 1번째 줄:
'''은행잎 추출물 (Ginkgo biloba extract, GBE, EGb 761)'''{{망막}} 은 기원전 3000년 경부터 중국에서 천식과 기관지염의 치료 약제로 사용되어온 은행잎에서 추출한 물질이다<ref>Deng Q. Chinese medicine : The dawn, the founders, and the first pharmascopeia. ''Drug New Perspect'' 1988;1:57-8</ref>.
'''은행잎 추출물 (Ginkgo biloba extract, GBE, EGb 761)'''{{망막}} 은 기원전 3000년 경부터 중국에서 천식과 기관지염의 치료 약제로 사용되어온 은행잎에서 추출한 물질이다<ref>Deng Q. Chinese medicine : The dawn, the founders, and the first pharmascopeia. ''Drug New Perspect'' 1988;1:57-8</ref>.
== 구성 ==
== 구성 ==
60가지 이상의 구성물질이 존재하고 있으며, 상품으로 만들어진 GBE의 대부분은 약 24%의 flavone glycosides (flabonoids), 6 %의 terpene lactones (ginkgolides and bilobalide), 그리고 약 7%의 proanthocyanidines, 및 기타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ref>DeFeudis FV. Chemical composition of GBE (EGb 761). In : DeFeudis FV, ed. GBE (EGb
60가지 이상의 구성물질이 존재하고 있으며, 상품으로 만들어진 GBE의 대부분은 약 24%의 flavone glycosides (flabonoids), 6%의 terpene lactones (ginkgolides and bilobalide), 그리고 약 7%의 proanthocyanidines, 및 기타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ref>DeFeudis FV. Chemical composition of GBE (EGb 761). In : DeFeudis FV, ed. GBE (EGb
761):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Paris: Elsevier, 1991: chap. 2</ref>.
761):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Paris: Elsevier, 1991: chap. 2</ref>.
== 효과 ==
== 효과 ==
=== 혈류 증가 ===
=== 혈류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