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 가성 전방 축농: 두 판 사이의 차이

155 바이트 추가됨 ,  2022년 7월 8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망막 가성 전방 축농 (retinal pseudohypopyon)'''{{망막}} 은 가성 전방 축농의 모습이 망막에 있을 경우에 사용되며, 노른자 모양 황반 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망막 가성 전방 축농 (retinal pseudohypopyon)'''{{망막}} 은 [[가성 전방 축농]]의 모습이 망막에 있을 경우에 사용되며,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의 변화 과정 중 계란 스크램블 모양 단계 이후 계란스크램블이 붕괴 혹은 액화되어 액체면을 가지는 낭포를 보이는 모습이 [[전방 축농]]과 매우 닮았다고 하여 [[가성 전방 축농 단계]]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 효시이다<ref>Kraushar MF et al. Pseudohypopyon in Best's vitelliform macular dystrophy. ''AJO''. 1982 Jul;94(1):30-7. [https://pubmed.ncbi.nlm.nih.gov/7091279/ 연결]</ref>.
'''망막 가성 전방 축농 (retinal pseudohypopyon)'''{{망막}} 은 [[가성 전방 축농]]의 모습이 망막에 있을 경우에 사용되며, 망막 아래에 물이 고인 낭포가 형성되고, 색이 다른 침전물이 고이거나 혼탁한 망막이 비치는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의 변화 과정 중 계란 스크램블 모양 단계 이후 계란스크램블이 붕괴 혹은 액화되어 액체면을 가지는 낭포를 보이는 모습이 [[전방 축농]]과 매우 닮았다고 하여 [[가성 전방 축농 단계]]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 효시이다<ref>Kraushar MF et al. Pseudohypopyon in Best's vitelliform macular dystrophy. ''AJO''. 1982 Jul;94(1):30-7. [https://pubmed.ncbi.nlm.nih.gov/7091279/ 연결]</ref>.
== 원인 ==
== 원인 ==
*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
*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